뉴스
"통합"(으)로 총 2,5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항공기·선박 금속부품 출력하는 3D 프린팅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1.04.15
- 연구팀은 또 용접기와 로봇, 적층 경로 설정 소프트웨어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고 와이어 소재, 작업 온도, 가스 유량 등 각종 공정 변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3D 프린팅에 적합하도록 최적화했다. 제작할 제품이나 부품 도면을 시스템에 입력하면 경로 설정 소프트웨어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21세기 교양교육의 핵심은 ‘과학’2021.04.14
- 세계관을 통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의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다. 과학적·논리적·통합적·실증적 사고를 몸에 익혀서 실생활에서 직면하게 되는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해주는 것이 과학 교양교육의 목표라는 뜻이다. 특히 현대 과학이 단순한 흥미나 호기심의 대상이 ... ...
- [인사] 국립암센터동아사이언스 l2021.04.12
- 박은영 △암검진사업부장 박기호 △암빅데이터센터장 최귀선 △암지식정보센터장 전재관 △중앙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부센터장 김영애 △데이터운영팀장 차효성 △데이터결합팀장 김현진 △데이터활용팀장 ... ...
- [랩큐멘터리] '더 강하고 다루기 쉽게' 합금의 통념을 깨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8
- 적용해 나노 스케일부터 마이크로, 거시적 스케일까지 분석 가능한 ‘멀티 스케일 통합형 모델링’을 구축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엔트로피 합금을 국내 처음으로 연구하기 시작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3D 프린팅과 머신러닝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연구실은 주조와 압연, 3D 프린팅, ... ...
- [과기원은 지금] GIST 학생팀 뉴미디어 아트 공모제 ‘내일의 예술展’ 당선 外동아사이언스 l2021.04.08
- 전시된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융합기술학제학부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인 최유진 씨의 작품이 뉴미디어 아트 공모전 ‘내일의 예술展’에 당선돼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 전시된다고 7일 밝혔다. 내일의 예술展은 예술의전당과 한국전력이 주최하는 공모전으로 비대면 사회, ... ...
- "호주 산불, 기후변화가 원인이었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5
- 2019년 10월 발생한 호주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고, 오히려 확산이 되고 있다. EPA/연합뉴스 제공 2019년 가을 호주에서 사상 최악의 산불 사태가 발생했다. ... 등에 대한 과학적인 감시가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미래 기후 변화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과학동아 l2021.04.03
- 10년 만에 데이터 생산량이 10배가량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질량과 에너지, 정보 통합해 데이터의 무게 계산 AIP 어드밴시스 지난해 8월 멜빈 봅손 영국 포츠머스대 물리 및 수학과 교수는 ‘정보 재앙’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국제학술지 ‘AIP 어드밴시스’에 발표했습니다. 봅손 교수는 논문을 ... ...
- 과학기술자문회의 4기 출범 …탄소중립·공공 R&D 자문동아사이언스 l2021.04.02
- 중기 계획과 예산을 심의 의결하는 ‘심의회의’를 통합해 규모와 역할이 커졌다. 통합과 함께 2018년 제1기 자문위원을 위촉한 데 이어 임기 1년 규정에 따라 지난해까지 제3기 자문위원이 꾸려졌다. 이번에 위촉된 자문위원은 제4기로 총 12명으로 구성되며, 임기가 남아 있는 자문위원 4명 외에 ... ...
- KAI-KAIST 항공우주기술연구센터 설립…SW, 비행체 기술 개발 맞손동아사이언스 l2021.04.01
- 긴밀한 협력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안현호 KAI 사장은 “KAI가 확보한 비행체 관련 체계통합 핵심기술과 KAIST가 보유한 우주·미래 비행체와 위성 SW시스템 등 미래 신기술을 융합해 한 단계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가 보유한 다양한 미래 기술을 바탕으로 KAI가 ...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1
- 교수, 정우익 서울대 기계공학부 박사후연구원, 정윤호 서울대 기계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100나노미터(nm,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수준의 3차원 금속 구조물 수천 개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는 3차원(3D) 나노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 상용화된 기존 3D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