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초"(으)로 총 1,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이에 한만춘 교수는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기초를 세우는 작업에 들어갔다. 학문의 기초를 세우는 일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번역과 출판이다. 그가 번역 작업에 몰두하기 전만 해도 우리말로 된 교재가 없어 대학에서 일본, 미국의 교재를 사용해 강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한만춘 교수는 196 ...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달하죠. 그에 비하면 우리는 짧은 기간에 성과를 낸 편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고 4년만에 기초적인 모델을 만들었으니까요. 그것도 10년간 220억 원 정도의 예산으로요.” 물론 이처럼 저비용 고효율 구조가 정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과학계는 시간과 인력, 비용을 투입한 만큼 결과를 ... ...
- 중국, 먼 바다 해상풍력단지 건설 시작 2015.11.12
- 중국 광허그룹 풍력발전회사가 약 28억 위안을 투자하여 진행되었으며, 풍력발전기의 기초와 해상 부스터스테이션 공정은 중자오싼항유한공사가 맡아서 수행했다. 총 발전용량은 약 152메가와트로 38기의 4MW급 발전기를 설치했으며, 220kV(킬로볼트)의 해상 부스터스테이션을 건설해 연간 발전용량은 ... ...
-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준비되어 있어야 연구의 방향을 정하고 아이템을 찾아낼 수 있는데, 여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이번 작업이 할 역할이죠. 해양생물자원 관련 연구의 출발점인 셈입니다. 이 : 정책담당자에게도 유용하리라고 생각합니다. 향후 그 용도가 변화되거나 새로이 필요한 자원들이 ... ...
- 해양생물도 자원이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표지. 부산과 제주 연안의 해양생물자원 정보를 집대성했다. KIOST는 2014년 12월까지 기초 조사를 마무리하고 2015년 상반기 동안 편집 작업을 거쳐 해양 생물 화보집, 을 펴냈다. 이 화보집에는 과거부터 2014년까지 부산과 제주 ... ...
- 계절이 바뀌면 사람도 변한다KISTI l2015.11.10
- ” “그래도 이상해요. 대부분 겨울이 되면 살이 찌던데요? 나도, 아빠도, 엄마도. 기초대사량이 높아지는데 왜 살이 찌는 거예요?” “아빠가 ‘같은 조건’에서 살이 빠진다고 했잖니. 여름하고 똑같이 움직이고 똑같이 먹으면 살이 빠지지만, 보통의 경우 날이 추워지면 실내에서 꼼짝도 하지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 핵융합에너지, 원자력에너지와 어떻게 다를까요?2015.11.05
- 지어지기 전까지 우리나라의 핵융합 연구수준은 대학이나 연구소의 소규모 실험실에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따라서 핵융합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핵융합 장치가 있는 곳에 가서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KSTAR의 건설 및 성공적인 운영 이후에는 ITER 가입을 통해 ... ...
- “통일전력협력에 관한 감동적 정책설계에 일조할 것”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에너지에 대한 중장기 개념은 ‘한반도의 그린화’이다. 결국 기후변화 대응 개념에 기초한 수급의 선진화를 추진해야 한다. 석탄광의 현대화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원자력, 신재생, 장기적으로 가스까지 설비를 도입, 선진화해나가야 한다. 장기적 차원에서는 동북아협력의 한 방안으로 슈퍼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최근에야 조명을 받듯이 파지도 그렇다는 의미에서다. ● 다시 떠오르는 파지요법 기초과학자들만이 파지연구에 관심을 보이는 건 아니다. 사실 파지연구 초창기에는 오히려 응용 쪽이 더 활발했다. 트워트와는 별개로 1917년 파지를 발견한 펠릭스 데렐은 곧바로 병원균을 죽이는데 파지를 ... ...
- 동북아 원자력 안전 미래 향한 ‘뉴 클리어로드’ 의 출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함께 그는 “현재 운영 중인 TRM과 TRM+는 어디까지나 완전한 협력에 이르는 첫 단계로서 기초적인 협의체 수준에 이르는 것만으로도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이날 발표자들의 의견과 질의응답을 통해 바라본 한·중·일 3국의 관계는 상호 보완적이었다. 한·중·일 모두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