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천
지원군
물자
리소스
자원병
지원병
물품
스페셜
"
자원
"(으)로 총 1,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답니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국가생물
자원
정보관리센터(KOBIC)가 존재한다. 하지만 교육과학기술부만 관할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도 별도의 유전체 관리사업을 벌이고 있어 부처간 협력이 잘 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기관들을 통합해 운영할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말했다. 지식경제부는 신약개발을 위해 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이같은
자원
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키워야 한다. 신희섭 박사는 “한국의 정보기술(IT) 비즈니스는 당시 정보통신부가 있었기에 전문적으로 지원해서 성공할 수 있었다”며 “신약개발을 위한 공공기구가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근거 없는 ‘비관론’은 일축했다. 오히려 그는 “국내 생명공학계에는 우수한 인적
자원
이 충분하다”고 전망했다. 매년 의대에서 배출되는 수많은 연구 인력이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국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기초 연구 인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하지만 박 원장은 생명공학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책 개발 ③ 연구 장비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과제 마련 ※ 이 시리즈는 산업통상
자원
부, 나노융합산업 통합정보시스템 나노인(www.nanoin.org)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의 내용은 국가 과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편집자 주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산화티타늄을 꾸준히 연구해온 인물이다. 순수 연구자의 길을 걷던 사람이 산업통상
자원
부(지식경제부)의 기업나노지원사업인 ‘나노융합2020’ 사업단장을 맡게 된 이유에 대해 그는 담담하게 설명했다. “연구자로 있으면서 연구자에게 상용화까지 고민하게 해선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터졌을 때 마흔 살이었던 하젠욀은 징집대상이 아니었지만
자원
입대를 했다. 그리고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지만 치료를 받고 회복된 뒤 다시 전장에 뛰어들었고 1915년 10월 7일 전사했다 ... ...
제3세대 기업가정신과 소셜벤처 육성 전략
KOITA
l
2013.04.23
생태계의 건강성을 위해서도 규모가 큰 성공적인 소셜벤처가 필요하다. 조직생태학의
자원
분할이론에 따르면 규모가 큰 기업이 출현할수록 소규모의 작은 기업이 늘어나 비즈니스 생태계의 다양성이 높아진다. 큰 기업은 다른 소셜벤처에게 수많은 사업기회를 제공하면서 부문별, 문제 유형별로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2.28
기초원천 연구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노화동물모델을 확보하고 노화 연구
자원
통합정보 인프라, 신약 후보물질을 빠르게 찾는 시스템(HTS) 등 융합 인프라가 더해지면 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 중복 막고 협력 이끌 통합 체계 필요 문제는 이를 위한 정부의 의지와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박사 1982년~2012년 KIST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원 1995년~2000년 아시아미생물
자원
네트워크(12개국) 한국대표 2002년~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21C 프론티어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장 2010년~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11년~현재 농림수산식품부 과학기술위원회 위원 2012년~현재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12.25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정책의 일관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이영식 교수는 “유전
자원
분야를 서로 지원하겠다고 나서면서, 각 부처에서 만든 법이 13개나 된다”면서 “법마다 기준도 다르니 연구자들이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법을 만들 때는 반드시 모든 부처가 다 모여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