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생"(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경향이 나타난다. 90%의 교수들이 동료 교수들과 비교했을 때 적어도 나는 평균 이상으로 학생들을 잘 가르친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최근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들이 그래도 나는 여전히 평균 이상의 운전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자기를 높이는 편향(self-serving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2017.05.30
- 한다). 문득 ‘지금쯤 기숙사가 다 지어졌겠다’는 생각이 들어 검색해보니 완공돼 학생들이 입주해 있다. 물론 전형적인 철근콘크리트 건물이다. 문득 이 기숙사를 목조 건물로 지었다면(베어낸 아름드리나무들을 쓴다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비록 숲은 파괴했지만 그래도 친환경 건축물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뼈아픈 기억이 있기 때문에 굳이 길게 언급하지는 않겠다. 많은 경우 실험을 하는 학생 또는 박사후연구원이 몰래 사고를 치고 교수가 진두지휘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그러나 이런 노골적인 행위를 너머 데이터 조작의 범위를 넓히면 얘기가 달라진다. 한 조사에 따르면 연구자의 72%가 논문을 쓸 때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2017.05.07
- 안타깝게도 할머니는 손주가 대통령에 당선되기 이틀 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학생 시절의 버락 오바마(Barack Obama)와 그의 외할아버지 스탠리 던햄(Stanley Dunham), 외할머니 매들린 던햄(Madelyn Dunham). 버락 오마바는 조손 가정에서 자랐지만, 할머니의 따뜻한 사랑과 올바른 교육을 받아 건강하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건 자연스러운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손더스는 끝으로 80년 후에 만약 우리가 만난다면, 학생들은 100세가 되고 자신은 134세가 되어 만난다면 당신의 삶이 어땠는지 알려달라고, 그 때 “정말 원더풀했어”라는 말을 들려달라며 축사를 마쳤다. 늘 바쁘게 성취를 위해 달려가지만 가끔은 삶을 어떻게 ... ...
- 기근과 말라리아로 덮인 나이지리아동아사이언스 l2017.04.10
- 276명이 납치된 적이 있었는데, 그 범인이 바로 보코하람이었습니다. 이 때 납치된 여학생들이 어떤 취급을 당했는지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다 아실 거라 봅니다. 2015년 나이지리아 정부가 보코하람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보르노 주의 마이두구리 지역을 비롯해 주요 거점에서 보코하람 세력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센터(Rape Crisis Center)를 기웃거리고 있다. 센터에서는 초중고학생들이나 성인들을 위한 인식 개선 교육도 활발하게 진행중인데 그 중 아이들을 대상으로 ‘몸의 주권’에 관한 교육을 하는 부분이 눈에 띄었다. GIB 제공 아이들에게 내 몸은 온전히 나의 것이므로 이 몸을 어떻게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와 함께 했던 학생들이 관련 연구 분야의 새로운 씨앗이 되길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있을 때 어디선가 아저씨 몇 명이 달려온 것이다. 그리고 얼마 뒤 불은 진압됐다. “학생들, 여기서 뭐하는 거야? 큰일 날 뻔 했잖아...”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알고 보니 봄철 캠퍼스 내 잔디를 태우는 분들이었다. 트럭을 타고 외곽도로를 지나가던 중 우리를 목격하고 이상해서 차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들었다. 수업 내용은 다 잊어버렸지만 어느 날 교수님이 한 말씀은 기억이 선명하다. 학생들이 연구 관련 분야의 최신 논문은 열심히 읽는데 자칫 숲은 못 보고 나무만 보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숲을 보는 방법으로 1년에 한 번 교양 생물학 교재를 통독하라고 권했다. 이렇게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