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목길
고샅
샛길
d라이브러리
"
골목
"(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02
7,8가의 헌책방과 전문가를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남대문 근처 옛날 서울시경찰국 일대
골목
은 당시 서울 장안 염료상들의 집결지였다. 이곳 상점 주인들은 화학방정식은 몰라도 염료가 타는 냄새만으로 무엇과 무엇이 몇대몇 비율로 섞였다는 것을 정확히 맞춰낼만큼 도사들이었다. 사정을 말하고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12
대폭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 샤텔페론 문화는 크로마뇽인에게 쫓겨 막다른
골목
에 몰려있던 네안데르탈인이 크로마뇽인의 돌칼기술을 배워 부분적으로 생명을 부지했던 최후의 국면을 대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그럼에도 미국 학자를 중심으로 한 지역진화설 주창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09
초능력의 부정적 사용을 의미한다. "나는 재수가 없는 놈이야"라고 혼자 신세타령하면서
골목
길을 돌아 나가다 동네 개구장이들의 야구공에, 그것도 하필이면 눈에 맞아 눈 언저리가 시퍼렇게 멍드는 일은 재수가 없어 생긴 일이 아니며 우연의 일치도 아니며 바로 자신의 초능력을 부정적으로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08
부려야 할 갖가지 기교들이 담겨있는 악보와 같다. 린팩을 시원스러이 풀지 못한다면
골목
대장으로밖에 취급받지 못할 것이다. 1988년 한 연구소에서 린팩으로 조사한 각 슈퍼컴퓨터의 성능평가는 (표)와 같다.그러나 또 다른 문제가 남아 있다. 에튜드를 잘 쳐서 음대에 입학한다고 해서 그 사람의 ... ...
어린이 과학교육의 새길 닦는다
과학동아
l
199107
밥짓는 냄새와 일과를 마치고 모인 식구들의 이야기 소리로 두런거리는 홍제동 주택가
골목
길을 더듬어 올라가 새로 지은 3층짜리 건물앞에 섰다.「초등과학정보센터(ICES) 어린이 과학교육연구소 꼬마과학실험실(KISEC)」 조금은 거창해보이는 문패로 목적지임을 확인하고 안으로 들어서자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03
몹시 흥분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적 작업을 연장해서 생각해볼 때 우리는 막다른
골목
으로 달려가고 있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두뇌가 합목적적 정보처리기계라 할 때 우리가 매일같이 느끼며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고 결정하는 자유의지는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 우리가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03
타임'에 중성미자 진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한 바 있다. "양쪽이 모두 높은 담인 좁은
골목
길에 한 마리의 개가 걸어오고 있다. 나는 그 개를 한참 유심히 주시하고 있었는데 그 모양이 희미하게 일그러지더니 가까워지면서 그 형체가 다시 뚜렷해졌다. 그런데 그 개는 고양이로 변해 걸어오고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11
세워져 있을 때 잘 통한다. 판목 양쪽에 끼워 붙인 편목 때문에 무수하게 뚫린 틈새로
골목
바람을 일으켜 가면서 굴뚝의 연기처럼 위로 올라간다. 위로 올라간 공기는 뒤쪽 위에 나있는 통풍창으로 흘러 나갈 것이다.해인사의 판전은 판목의 보존창고로는 아주 이상적인 건물로 설계되고 지어졌음에 ... ...
미로의 운전자에 나침반 제공한다
과학동아
l
199010
외국과는 달리 좌회전 허용등의 제도가 복병으로 도사리고 있고 '차만 가지면 어떤
골목
이든 갈 수 있다'는 운전자의 그릇된 의식때문에 곳곳에서 연동의 흐름이 끊기기 마련이다."4~5년전의 교통량 정도로 지금의 관제시스템을 가동했다면 서울시내 전체가 시원스레 소통됐을 것"이라는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06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데는 부적절하다. 따라서 애매함은 수용하는 태도는 이런 막다른
골목
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중요한 길이 된다. 일본인은 애매함에 익숙하며 서구인들에 비하여 이를 더 잘 수용한다.■융통성을 길러주는 교육융통성은 창의적인 행동의 또다른 중요한 요인이다. 이는 때때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