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099건 검색되었습니다.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10
개발해, 사람이 타고 날아다니는 모습을 유튜브에 공개했다. 아직까지는 30cm 정도
공중
에서 15분가량 나는 수준이다. 하지만 U자형 길에서 묘기를 부리거나 물 위에서도 달릴 수 있다 (영화 속 호버보드는 물에서는 멈춘다). 영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200m나 되는 자성 트랙을 깐 덕분이다.렉서스 ... ...
[과학뉴스] 인공위성 고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509
NASA)의 인공위성정비부서(SSCO)는 인공위성의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하며 연료까지
공중
급유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해 7월 21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실험 배치했다. 이 로봇은 도움이 필요한 위성에 접근해 안에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넣어서 수리하고, 연료도 주입할 수 있다. NASA는 앞으로 이 ... ...
[과학뉴스] 목성 표면을 ‘둥둥’ 신개념 탐사선 아이디어 발표
과학동아
l
201509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7월 22일 발표했다. 기체로만 가득 차 있는 목성을 탐사하기 위해선
공중
에 장기간 떠 있을 수 있는 탐사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온·고압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는 목성 표면에서 버티려면 에너지가 많이 든다. 태양에너지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탐사선으로는 한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09
옆구리에 달린 ‘날개’를 펼쳐 가지에서 뛰어내려 활공을 하기 때문이다. 멋진
공중
묘기를 부릴 줄 아는 이 도마뱀의 이름은 플라잉드래곤. 이들의 옆구리에 있는 날개는 길어진 갈비뼈 사이사이의 피부가 넓게 펴진 것으로, 나무에서 뛰어내릴 때 받는 공기저항을 늘려 활공을 가능하게 해준다.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믿음직한 소프트웨어가 만드는 안전한 세상
과학동아
l
201509
믿음직한 SW미국에선 1956년 그랜드캐년 상공에서 항공기 충돌이 일어난 이후, ‘
공중
충돌방지장치(ACAS)’를 도입했다. 항공기의 속도와 고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자동으로 충돌을 경고하는 소프트웨어다. 항공기 여러 대가 근처에 있을 때, 가속도에 따른 예상위치를 초 단위로 계산해 충돌위험을 ... ...
공기 나빠도 운동은 하고 보자!
과학동아
l
201508
나쁘다면? ‘그래도 운동하는 게 낫다’는 게 과학자들의 결론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공중
보건학과 조라나 안데르센 교수팀은 정부가 코펜하겐과 아르후스 지역에서 실시한 대규모 코호트 조사를 분석했다. 코호트 조사는 50~65세 주민 5만2061명이 하고 있는 운동 종류와 정도, 해당 지역의 ... ...
피가 둥둥…, 우주에서 수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08
미세중력 상태에서 섣불리 수술을 하려고 했다간 몸에 칼을 대는 순간 장기나 피가
공중
에 떠오르고 수술실은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고 말 것이다. 이처럼 SF영화에서조차 상상하기 힘든 우주 수술을 국제 공동 의료진이 직접 실험에 나섰다.미국과 캐나다 의료진은 6월 26일 캐나다 국립연구소의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
놀라 땅에 내려앉지 못하게 했어요. 또 참새의 둥지를 뒤져 알이나 새끼를 없애고,
공중
에 나는 참새를 총으로 사냥하기도 했어요. 얼마 지나지 않아 참새는 중국에서 거의 멸종 위기에 놓일 만큼 줄어들었어요.하지만 쌀 생산량은 예상과 정반대로 줄어들기 시작했어요. 참새가 사라지면서 농사에 ... ...
국가대표 체조선수는 사마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
것을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했어요. 그 결과 우리가 정확하게 곳에 착지하기 위해서
공중
에 머무는 동안 다리와 배를 재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발견했지요.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움직임이 0.08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다는 거예요. 이것은 여러분이 눈을 한 번 깜빡일 때보다도 짧은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07
하천이 생기는 과정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번개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섞여 있는
공중
에서 공기 저항이 가장 적은 방향으로 전자를 흘려보낸다. 하천은 물길이 최소로 돌아가도록 땅에 새 물길을 낸다. 나무뿌리도 물과 양분을 빨아들이기 위해 단단한 땅속으로 잔뿌리를 낸다. 모두 무언가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