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짜"(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π-day, 어디서 즐길까?수학동아 l201003
- 선생님들이 모여 신입생, 수험생 모두가 참여하는 파이의 날 행사를 진행해 왔어. 시험 날짜 등과 겹칠 때는 3월 13일, 14일, 15일에 걸쳐 행사를 진행해. 좀 더 많은 학생들이 파이의 날을 즐겼으면 하는 바람이지.이 날 행사에는 원주율 값 암기하기, 원주율 O· X퀴즈대회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려. 행사를 ... ...
- 새 교과서의 세 번째 성격! 문제 해결의 힘수학동아 l201002
- 내용을 충분히 이해시키고 촬영을 빨리 할 수 있도록 시간대별로 계획을 짜자고. 촬영날짜도 앞당겨서 방송 3일 전엔 편집을 시작하자.”실행하기 촬영 전 연기자들과 회의를 하고 계획에 따라 촬영한다.되돌아보기 “계획대로 하니 촬영시간도 훨씬 줄고 편집시간도 충분했어.”“촬영장에서 ... ...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수학동아 l201001
- 설명해 줬어."공책 맨 앞에 그 날 공부할 내용을 적고 계획대로 공부했으면 해당하는 날짜에 하트를 그려요. 스티커를 붙일 때도 있고요. 히히~. 교과서와 전과를 꼼꼼히 읽어 보고 문제집을 푸는데, 공부한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은 공책에 따로 정리해요. 알아보기 좋게 대표적인 내용은 빨간색으로 ...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수학동아 l201001
- 가면 동경, 왼쪽으로 가면 서경이라고 표시한다. 동경과 서경이 만나는 180°지점이 날짜가 변경되는 선이다.기하학을 바꾼 좌표평면수식을 이용한 표현과 함께 데카르트는 가로축을 x축으로, x 축에 직각인 직선을 y축으로 표시했습니다. 이와 같이 가로축과 세로축을 이용한 좌표를 직교좌표라고 ...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01
-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모릅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42년 김대건 신부가 쓴 편지에 날짜를 아라비아 숫자로 적고 있습니다. 아라비아 숫자를 적은 최초의 공식적인 문서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조약을 체결할 때 영어로 작성한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이 아라비아 숫자를 ...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수학동아 l200912
- ❶ 제멋대로인 요일일 년의 길이인 365일은 7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똑같은 날짜라고 해도 해가 바뀔 때마다 요일이 바뀐다.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 년에 쉬는 날의 수도 일정하지 않다. 게다가 매년 새로운 달력을 찍어 내야 하기 때문에 지원의 낭비가 심하다 ...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과학동아 l200912
- 이들을 나르기 위해 특별 수송 열차까지 편성됐다고 한다. 원래 시연 행사를 하기로 한 날짜는 31일 하루였지만, 새해 첫날에도 끊임없이 몰려드는 사람들 때문에 행사는 하루 연장됐다. 가스등과 달리 연기가 나지 않고, 아크등과 달리 빛이 강렬하지 않은, 은은한 백열전구의 오렌지 빛에 사람들은 ...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수학동아 l200912
- 탄신일임진왜란의 영웅인 이순신 장군의 생일은 1545년 음력 3월 8일이다. 현재는 그 날짜를 그레고리력으로 바꾼 4월 28일을 탄신일로 정해 기리고 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이순신 장군이 태어난 1545년에는 서양에서 율리우스력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과학동아 l200912
- 10% 정도는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이라는 특수한 재능을 타고 나서 수백 년 전 특정 날짜의 요일을 즉각 알아내기도 한다.물론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요일 알아내기 공식’이 있기는 하다. 보기만 해도 골치 아픈 그 공식은 다음과 같다.이 식의 값을 7로 나눈 나머지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수학동아 l200912
- 거실의 크기도 잰다. 또 고기 양은 저울로 달아본다. 크리스마스를 손꼽아 기다리며 날짜를 세어 보기도 한다. 외국에서 물건을 살 때는 돈의 가치를 따진다. 이렇게 매일 측정을 하려면당연히 단위가 필요하다.수학 공부를 위해!수학은 관계를 다루는 과목이다. ‘단위 사이의 함수관계’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