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d라이브러리
"
두개골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03
게놈 프로젝트를 이끈 스반테 패보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인류학부장이 네안데르탈인
두개골
화석을 들고 있다. 작년 그의 연구팀은 현생인류의 게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일부 섞여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현대인 게놈 일부 네안데르탈인의 것”2010년 5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 ...
익룡은 새보다 악어에 가깝다
과학동아
l
201102
추정했다. 수컷은 골반이 작고
두개골
에 커다란 볏이 달려 있는데 암컷은 골반이 크고
두개골
에는 볏이 없다. 다위노프테루스의 알은 작고 껍데기가 얇다. 비슷한 크기의 새가 낳는 알 크기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았다.연구팀은 “새가 탄생할 쯤에는 알껍데기가 두껍게 진화했다”며 “배아를 키울 ... ...
총격 당한 미국 연방하원의원, 뇌수술 받고 살아나다
과학동아
l
201102
미국 애리조나 주 총기사건으로 머리에 총상을 입은 가브리엘 기퍼즈 미국 민주당 연방하원의원이 뇌수술을 받고 목숨을 구했다. 애리조나 투산대 병원의 의료진은 뇌가 부풀어 뇌압이 상승해 뇌가 손상될 것을 우려했다. 뇌압을 줄이기 위해
두개골
의 절반을 일시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을 했다.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2억 만 년 전에 살았던 초식 공룡의 조상으로, ‘이저우사우루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두개골
은 넓은 돔 형태이며, U자 모양의 턱은 뒤의 용각류와 비슷하다. 과연 이조우사우루스는 초기 용각류 의 진화 과정을 밝힐 수 있을까?단서3 트리케라톱스와 토로사우루스는 알고 보니 같은 공룡 ... ...
모비딕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고래
과학동아
l
201008
로테르담 자연사 박물관 탐사팀이 2008년에 남부 페루 피스코-이카 사막에서 발견했다.
두개골
의 크기는 3m이며, 이빨의 크기는 지름이 12cm에 길이도 36cm나 된다. 연구팀은 이 고래의 몸길이가 13m를 넘으며, 머리도 3m 이상이었다고 설명했다.이 고래는 크기와 습성이 허먼 멜빌의 소설 ‘백경’에 나온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줄 테지만, 알고 보면 착한 친구니까 친해지라구. 바로 미라야! ▲ 수술 흔적이 있는
두개골
(페루 국립고고인류역사학박물관)나는 구멍을 뚫고 수술을 받은 흔적이 있는 머리뼈야. 안데스 지역에서는 2900년 전부터 머리뼈에 구멍을 뚫는 수술을 했어. 처음에는 흑요석이라는 돌로 머리에 구멍을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좁히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유가족이 제공한 전사자의 사진과 3D스캐너로 촬영한
두개골
이미지를 합성해 신원을 추정하는 ‘슈퍼임포징’ 첨단기법도 활용되고 있다.국방부는 아직도 13만 명에 가까운 국군 전사자의 유해가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6만 명은 비무장지대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05
작아, 세디바는 분명히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 속한다”면서도 “다리가 길다는 특징과
두개골
뒷부분, 치아, 골반의 형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 속한 다른 종보다는 호모와 닮았다”고 설명했다.그는 “세디바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운데 가장 최근에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04
아마추어 화석 수집가가 발견한 이 쥐의 머리 화석이 공개되자 세계가 발칵 뒤집혔다.
두개골
길이만 약 53cm에 이른다. 고척추생물학자들이 화석을 분석한 결과 쥐의 몸집이 황소 크기만 했을 것이라는 계산이 나왔다. 이 거대 쥐는 약 400만 년 전~200만 년 전 습한 저지대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
‘왕눈이’ 동물들의 특별한 취미
과학동아
l
201003
안에 적합한 나무가 없다면 더 이상 번식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로리스의 큰 눈은
두개골
안에서 뇌만큼이나 공간을 많이 차지해 빛을 많이 흡수한다. 그래서 어둡고 희미한 곳에서도 앞이 잘 보인다. 다른 야행성 동물과 마찬가지로 로리스의 눈의 망막 뒤에 반사층이 있기 때문이다. 빛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