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뚜껑"(으)로 총 3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과학동아 l201103
- 그래서 문제가 됐다. 고등학교에서 열역학을 가르치면서 단원자 분자만 다룬다고 하고선 뚜껑을 덮었다. 세상에 단원자분자가 몇 개나 있나. 그렇다면 산소 분자, 이산화탄소 분자는 교과서에 없는 거다. 더 심화된 내용 즉 다원자 분자를 공부한 친구들이 그걸 바탕으로 수능 문제를 풀었는데 ...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과학동아 l201103
- 웃었다. 미국에 온지 이틀 만에 정이 들어버린 학생들이었다.약 10분 뒤 기계가 멈추고 뚜껑이 열리자 아이들이 조심스럽게 동전을 꺼냈다. 하지만 학생들의 표정이 모두 밝지는 않다. 어떤 것은 황금빛으로 반짝였지만 어떤 것은 약간 색깔만 노래졌을 뿐 빛나지 않았기 때문이다.“낡은 동전은 ...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과학동아 l201101
- 진동주기가 짧아질 것이다. 2004년 실험은 바로 이런 현상을 측정한 것이다. 생수병 뚜껑만한 작은 금속용기(비틀림 진동자)에 액체 헬륨(4He)을 넣고 압력을 높여주면 고체헬륨이 된다. 참고로 1기압에서는 아무리 온도를 낮춰도 헬륨은 고체가 되지 않는다. 헬륨은 ‘나홀로족’, 즉 원자가 혼자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11
- “서두르세. 이제 뚜껑과 쇠침만 꽂으면 완성이야.”거북의 등껍질 모양을 본 딴 뚜껑마저 제법 모양을 갖추어 가면서, 천지관이 기대와 흥분으로 술렁거릴 때였다.“혹시, 소문 들었니? 궁궐 안에 나도는 흉흉한 소문 말이야.”혜명 공주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미간을 잔뜩 찡그린 공주가 천지관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11
- 이런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만약 김치냉장고가 없다면 어떻게 할까. 김치를 담근 후 뚜껑을 잘 덮은 다음 실내(20~44℃)에서 하루 정도 발효 숙성 시킨다. 틈틈이 맛을 보아 너무 신맛이 조금씩 느껴지는 상태에서 냉장고에 옮겨 넣는다. 냉장고마다 다르지만 보통 영상 5℃ 정도를 유지하면서 조금씩 ...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10
- 위해서 뚜껑 부분을 일체형으로 만들었어. 또 뚜껑이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뚜껑에 홈을 파고 똑딱이 단추처럼 풀의 몸체를 붙였지. 손에 묻은 딱풀의 끈적임을 바로바로 없애기 위해서 다 쓴 풀의 본체 안에 물티슈를 넣어 이를 딱풀 끝에 이어 붙였어. 칼자국이 남지 않는 칼정윤길 ...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수학동아 l201010
- 세모, 네모, 동그라미, 세모 그리고 다음은? 아마 네모겠죠? 뚜껑을 따자마자 규칙을 찾아 주는 ‘함수’맛 통조림이 나왔습니다. 식과 그래프 소스로 깊은 맛을 더한 신제품 ‘함수’맛 통조림, 지금 바로 따 볼까요?함수는 초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100까지의 수 배열표에서 수의 규칙을 찾는 ...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광학망원경을 소개합니다.여섯 개의 눈으로 태양을 본다!망원경 앞쪽을 보면 여러 개의 뚜껑이 열려 있는 게 보일 거예요(화살표 부분). 태양망원경에 있는 여섯 개의 구멍은 각각 볼수 있는 빛의 영역이 달라요. 마치 서로 다른 색의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 것과 같아서 태양에서 나오는 빛 중에서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08
- 첨성대를 닮은 이유를 알았다. 설계도 속의 연월기는 첨성대 모양의 몸통 위에 둥그런 뚜껑이 덮였고, 그 위에는 날카롭고 긴 쇠침을 달고 있었다.“이건 뭐예요?”지오는 설계도에서 쇠침 부분을 손가락으로 짚었다.“요건 말이다, 해와 달의 정기를 모아 줄 도구지. 연월기에서 가장 중요한 ...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08
- 어떻게 하나요?재활용 쓰레기통캔, 플라스틱, 유리 등 분리수거는 확실히 하고 있나요? 병뚜껑도 따로 모아야 하는데, 지키고 있나요?생수병은 자동차?몸에 좋은 깨끗한 물을 마시기 위해 생수를 찾는 친구가 많군요. 하지만 주의하세요. 생수가 담긴 페트병이 지구를 신음하게 만들고 있으니까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