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8,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된다. 실제로는 모든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김 교수는 하모니 서치로 모든 직선에서 거리가 가장 짧은 점을 계산해 소실점을 찾는 법을 연구하고 있다. 외계행성 우주에서 제2의 지구를 찾아라!하모니 서치는 외계행성을 찾는 데도 쓰였다. 유럽우주국이 2010년 지구에서 1500광년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06
- 5월 사이에만 불기 때문에, 이 위험을 줄이고자 6월에 전쟁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모든 전쟁의 승패에 날씨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전쟁의 승패는 지금의 세계사를 완성했다. 만약 그때 전쟁의 시기를 6월로 잡지 않았더라면 지금과는 많이 다른 세계사를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06
- 실질적인 빵 역사는 지금까지 약 70년 동안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하지만 아시아의 모든 나라가 서양으로부터 빵과 제빵 기술을 전해 받은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밀을 재배했으며, 밀가루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 중국과 왕래가 잦았던 한반도에도 이와 비슷한 음식이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06
- 여러 미생물이 들어 있다. 여기에서 한국 토종 효모 1만여 종을 분리해냈다.문제는 모든 효모가 빵을 만들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었다. 지금까지 밝혀진 효모만 600가지가 넘지만, 빵을 만들 수 있는 건 몇 개 없다(98쪽 참조). 또 제빵이 가능하다고 해도 제빵능력은 각각 다르다. 빵을 만드는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우리 벌레들도 사람들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니 무척 뿌듯해! 역시 모든 생명체들은 저마다의 역할이 있나 봐! 앞으로 계속될 사이버그의 활약을 쭉 지켜봐 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06
- 줄 알아요. 그런데 전혀 아니거든요. 남들보다 수학에 관해서 노력을 더 했을 뿐이에요. 모든 걸 잘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해요. 한쪽에 투자한 만큼 다른 걸 포기해야 하지요.제가 고등학생일 때 방학마다 KAIST에서 수학 캠프를 열었어요. 저는 내신 점수가 깎이는 ...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수학동아 l201706
- 그러나 아키네이터의 뒤에 있는 강력한 배후를 발견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컴퓨터가 모든 사람과 사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웹인 ‘시맨틱 웹’입니다.1993년 이래 웹은 지식이 쌓인 창고였지만, 컴퓨터가 스스로 지식을 다루는 건 무리였습니다. 그래서 컴퓨터가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06
- 조달할 때는 적 군에게 눈에 띄지 않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전쟁 중에는 모든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며 전투가 벌어지는 장소와 시간, 날씨에 따라 전쟁의 양상이 달라진다. 무엇보다 물품 보급과 지휘관의 적절한 작전 지시는 전쟁의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래서 지휘관은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06
- 모두 컴퓨터로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망을 통제할 수 있는 무기가 개발된다면 꼼짝없이 모든 체계가 멈출 것이다. 이를 막기위해 강력한 보안을 위한 정교한 암호를 개발 중이다. 우주전 인간과 기계가 우주로 나갈 수 있게 된 오늘날, 전 세계의 군대에서는 지구 궤도를 현대전의 새로운 고지로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06
- 소금은 무조건 적게 먹는다고 좋은 게 아니다. 넘치는 것도, 부족한 것도 문제다. 또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가는 소금의 종류와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제야 과학자들은 적정수준의 소금 섭취량과 소금의 종류 별 차이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옛 조상들이 소금을 금처럼 귀하게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