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퀴"(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10
- 테이프가 필요하다. 숫자가 적힌 홈에 규칙적으로 색실을 걸고, 홈을 따라 원판을 한 바퀴 다 감은 뒤 색실의 끝을 테이프로 고정하면 된다. 실을 거는 간격이 넓으면 실을 촘촘하게 건 경우보다 더 작은 원이 원판 가운데에 나타난다. 여러 가지 실을 쓰면 작품이 완성될수록 무늬가 겹쳐서 실을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10
- 자력계를 싣고 출발한 메신저호는 수성과 충돌하기 전까지 6년 동안 수성 주위를 4100바퀴 정도 돌며 28만 9000장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지요. 그 덕분에 수성의 극 지방에 얼음이 있다는 것과, 지구처럼 수성의 내부가 철로 이루어졌다는 사실 등을 알 수 있게 됐답니다.유럽우주국(ESA)과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10
- 방식이죠. 이 피드백 점수의 총합이 항상 최대가 되도록 규칙을 정해놓으면, 드론은 여러 바퀴를 돌면서 입력한 비행경로와의 차이를 점점 줄여나갑니다. 생쥐가 미로를 빠져나왔을 때 보상으로 치즈를 주는 것과 비슷한강화 학습이죠.시동이 꺼지면 자동차는 그냥 멈추지만 드론은 추락합니다.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10
- 10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나이키에서는 신발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안에 들어 있는 톱니바퀴와 도르래가 움직이면서 신발이 조여진다고 밝혔다. 수분으로 요리하는 건조 피자영화에서는 손바닥만 한 건조피자를 수분조리기에 넣어 버튼을 누르면 커다랗고 따끈따끈한 피자가 완성되는 장면이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09
- 10개국 23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2.5cm인 정육각형 모양의 바퀴 달린 로봇이 몸통으로 주황색 탁구공을 굴려 골대에 밀어 넣는 방식이었다. 대회 이름은 지금은 하나의 부문이 된 ‘마이크로로봇 축구대회(마이로솟)’였다. 아시아의 작은 국가가 국제 로봇축구대회를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09
- 것과 같은 문제다. 그 이유는 두 지역의 시간 차이가 경도 차이이기 때문이다. 지구는 한 바퀴(360°) 자전하는 데 24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같은 위도에서 1시간만큼 차이가 나는 두 지역은 동쪽 또는 서쪽으로 약 15°만큼 떨어져 있는 것과 같다.하지만 당시에는 밤낮으로 온도 변화가 큰 바다와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09
- 곧잘 돌풍을 일으킨다. 구름 층 꼭대기에서는 시속 300km에 이르는 강한 바람이 4~5일에 한 바퀴씩 금성을 돈다. 금성은 대부분 화산 지형이다. 지금까지 직경이 100km가 넘는 거대한 화산만 167개가 발견됐다. 지구에서 이만한 크기의 화산은 하와이 제도의 본섬이 유일하다. 꼭대기가 평평해 마치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양력을 비슷하게 맞춘다.윤초도 비슷한 이유로 만들어졌다. 하루는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그런데 지구가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밀물이나 썰물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하기도 하기 때문에, 실제 시각과 표준 시각이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때 시각을 정확하게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놓으면 자성을 띠고 끈적끈적해지는 액체를 말해요. 충격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바퀴의 충격을 막아 주는 장치에 많이 쓰지요.연구팀이 이용한 것은 ‘전자기 유도’의 원리예요. 전자기 유도는 전기가 흐르는 곳 주변에 자기장이 생기고, 자기장의 방향이나 크기가 변하면 주변에 전류가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08
- 명왕성에 1만 2550km 거리까지 접근했을 때,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력은 1시간 안에 지구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14km/s까지 빨라졌다.행성 근처에 서서히 접근했다가 재빨리 튕겨나가는 스윙바이 곡선은 쌍곡선 궤도다. 행성에 착륙할 때는 쌍곡선 궤도에서 포물선 궤도를 거쳐 결국은 타원 궤도를 따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