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존과학"(으)로 총 98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504
- 희귀 생물자원의 보고 탄자니아우리나라에서 직선거리로 따져도 1만 km가 넘고, 비행기로 가면 카타르를 잠시 경유해 15시간이 걸리는 이곳 탄자니아에서 한국 과학자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타위리에 있는 ‘연구소재은행(TWRRU)’ 덕분이다. 연구소재은행은 국내 연구소재중앙센터(KNRRC)가 탄자니아 ... ...
- 매머드 멸종, 혜성 때문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03
- 지구방위대가 러시아 시베리아 지방에서 발견한 냉동 매머드를 가지고 있다는 소식이야~! 이 닥터 그랜마가 또 어마어마한 지구 정복 계획을 떠올렸어. 냉동 매머드를 몰래 빼내서 매머드를 다시 살려내는 거지! 유전자 복원 기술을 이용하면 매머드를 복제할 수 있을 거야. 복제양 돌리처럼 말이야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03
- 일상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존재, 컴퓨터. 컴퓨터는 처음에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또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요? 컴퓨터의 모든 것을 파헤치기 위해 기자단 이원준, 정혜은 친구가 넥슨컴퓨터박물관을 찾아가 보았어요.아시아 최초 컴퓨터 박물관추운 겨울에도 열대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03
- 이만근 교수의 일본여행기가 지난 호에 이어 계속됩니다. 과연 산가쿠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두 번째 이야기를 통해 실제로 찾아 낸 산가쿠를 확인해 보세요~문화·역사적 자존심을 걸고 벌어지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여러 논쟁은 자칫 감정 문제로 번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다. 자칫 ... ...
- [과학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503
- 미국 중부 시카고 근처에 위치한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에는 ‘테바트론’이라고 하는 가속기가 있다. 총 길이 6.3km의 원형 입자가속기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와 성능을 자랑했다. 22년 전인 1983년 가동을 시작한 이래 수많은 입자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03
- 타조공룡(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의 역사는 백악기 전기인 약 1억250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지층에서 발견된 펠레카니미무스(스페인)나 셴조우사우루스(중국)가 타조공룡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종이기 때문이다. 몽골에서 발견된 하르피미무스는 조금 더 역사가 짧은데, 위 두 공룡과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03
- 고(古)DNA를 추출해 분석을 하려면 전처리가 필요하다. 사진은 보존실에 있는 모습.➌연웅 보존과학연구실장 (왼쪽 세 번째)과 신지영 연구관(왼쪽 네 번째), 인골연구팀이 함께.백제시대 상류층, 육식은 금지였을까이렇게 알아낸 정보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다른 역사적, 고고학적 연구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02
- 보물을 잔뜩 실은 배가 바닷속에서 발견됐다는 이야기 들어 봤나요? 마치 동화에서만 있을 것 같은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났어요. 지금으로부터 800년 전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 바다를 누비던 배가 2009년에 발견됐거든요! 그리고 이 배가 얼마 전 옛날 모습과 크기 그대로 복원됐다는 사실! 어린이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01
- 지난 11월 말,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각류 공룡 화석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전국이 들썩였다. 두개골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생전 몸길이가 50cm가 채 안 됐을 초소형 공룡의 화석이 경남 하동에서 발견됐다. 한국도 이제 공룡 연구의 메카가 될 수 있을까.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01
- 100년 동안 세상을 바꾸고 과학동아가 특집까지 다룬 이론이 혹시 틀렸다는 말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일반상대론을 검증하려는 시도는 단추 크기(수mm)에서 태양계 크기(수십 억 km) 수준까지만 이뤄졌다. 이 정도 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이 틀렸다는 징후는 아직 없다. 그런데 태양계보다 훨씬 더 큰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