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사"(으)로 총 1,014건 검색되었습니다.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09
- 제안했고,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소위 정상상태뿐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 변하는 복사 현상까지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 이론이란 점에서 보어의 이론은 더 우월하다.보어의 ‘위대한 3부작’을 꼼꼼하게 읽어보면 이후 50여 년 동안 진행된 양자역학의 물리학 및 철학 문제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09
- 작년 9월 ‘네이처’에 발표한 ‘인간 뇌전사체지도’다.전사체란 유전자를 토대로 복사한 유전 물질(전사물질), 즉 전령RNA(mRNA)의 모음을 의미한다. 몸 안에 있는 모든 세포는 똑같은 게놈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기관, 조직마다 세포의 모습과 기능이 각각 다르며, 같은 세포라고 해도 시기에 ... ...
- 산호도 미세먼지가 싫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09
-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높아진 곳이랍니다. 연구팀은 대기 속의 미세먼지가 태양복사에너지를 반사해 일조량이 줄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산호가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해 성장을 못하고 개체수도 줄어든 거지요. 산호는 다른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이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08
- 돼 있다고 생각해 항의하는 이유로 이런 코드를 만들었다. 이 코드는 DVD를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는 걸 막아주는 CSS 암호를 무력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1401자리의 소수를 이용해 만들어졌다. 이 소수를 16진법으로 바꾸기만 하면 CSS 암호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소수를 ‘불법 소수’라고 ... ...
- [hot science] 건강 근육, 몸짱 근육과학동아 l201307
- 가로무늬인 복횡근, 세로무늬인 복직근과 함께 갈비 쪽으로 뻗어있는 내복사근과 외복사근으로 이루어져있다. 멋진 복근은 연예인 이효리 등이 ‘11자 복근’을 선보인 이후 남성뿐 아니라 여성들 사이에서도 화제다.흔히 복횡근과 복직근이 만드는 초콜릿 복근을 가진 연예인들을 살펴보면 4개, ... ...
- Part 1. 빅뱅은 두 막의 충돌일까?과학동아 l201307
- 1000억℃ 이상) 우주에서 시작됐다는 가정으로부터 우주의 팽창, 원소의 구성, 우주 배경복사, 은하에서 초은하단에 이르는 거대구조의 존재 등 현재 관측된 우리 우주의 모습을 잘 설명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초끈으로 우주만들기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Part 1.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06
- 화산과 비슷한 규모로 추정된다.공중으로 올라간 화산재는 수 년 동안 공중에 떠서 태양 복사를 막는다. 2009년 주디스 린 미국 나발연구소 박사와 데이비드 린드 NASA 고다드연구소 박사가 ‘지오피직스 리서치 레터’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화산이 큰 규모로 분화하면 약 2~3년 동안 화산재로 인해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05
- 10-32초 뒤에 끝났다. 따라서 만약 이 교란을 포착한다면, 우리는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보다 훨씬 어린 우주를 볼 수 있게 된다. 빛보다 이른 흔적인 셈이다. 아직 본격적인 편광 분석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송 박사는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라며 “진짜 논란이 될 내용은 그 이후에 나올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05
- 이론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흑체복사라는 사실이다. 이로써 막스 플랑크의 흑체복사 이론은 우주에서 가장 거대하고 오래된 흑체를 아름다울 정도로 완벽하게 설명해주는 물리 이론이 됐다. 코비의 뒤의 뒤를 잇는 유럽우주기구(ESA)의 탐사선이 ‘플랑크’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필연이었다 ... ...
- 암흑물질 후보 정말 찾았나과학동아 l201305
- 다른 암흑물질 후보보다 더 유력해진다. 마침 3월 말 발표한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의 관측 결과도 비활성 중성미자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120쪽 참조. 2012년 10월호 ‘암흑물질 3파전’ 참조).하지만 AMS의 관측 결과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있다. 금용연 서울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