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d라이브러리
"
원통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02
5쌍의 다리(헛발, 배다리)를 갖고 있지만 이 애벌레는 몸을 고정하기 위한 2쌍뿐이다.
원통
형의 길고 날씬한 몸매 때문에 더욱 나뭇가지처럼 보인다. 그래서 가지나방 애벌레들을 막대벌레(stickcaterpillars)라고도 부른다. 필자도 애벌레를 채집하기 위해 산에 올랐다가 숨어 있던 가지나방 애벌레를 ... ...
빛으로 떠오르는 광학 날개
과학동아
l
201101
위아래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지나가면서 ‘빛의 양력’을 만들어냈다. 또 연구진은
원통
막대를 빛이 굴절해서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 입사각에 따라 막대 방향이 변하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연구진은 “빛의 양력 현상은 작은 기계의 동력원으로 쓰거나 액체에 담긴 작은 물질을 옮길 때 ... ...
에디슨의 유령탐지기를 찾아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4
원통
사이에 있는 바늘이 금속박에 자국을 남겨 소리의 특징을 기록한단다. 그리고 이
원통
을 되감아 돌리면 금속박에 찍힌 홈이 다른 바늘에 닿으면서 녹음된 소리가 흘러나오는 거야. 어때? 신기하지? 도시와 집안을 환하게 밝혀라!축음기를 만들고 난 에디슨은 집에서 쓸 수 있는 전구를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이런 과정이 없으면 원시 식물의 잎처럼
원통
모양이 돼요. 양치식물인 속새는 아직까지
원통
모양의 잎을 가진 대표적인 식물이에요" 이일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잎이 나는 모습에도 비대칭이?잎이 줄기에 달려나는 모양은 크게 네 가지가 있다. 바로 마주나기(➊), 어긋나기(➋), 돌려나기 ... ...
맛있는 그림! 세잔의 정물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사과’였지요. 세잔은 자연을 단순하고 기본적인 형태로 표현하고자 노력했어요. 구나
원통
처럼요. 그런데 단단하고 둥근 모양을 하고 있는 과일은 이런 기본적인 형태에 가장 가까웠고, 어떤 물체가 얼마나 입체적인지를 나타내는 ‘양감’을 표현하는 데에도 가장 좋은 소재였답니다. ❶ 폴 세잔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12
강한 금속도 마찬가지다. 현재 가장 유력한 후보는 탄소나노튜브다. 벌집 모양의 긴
원통
처럼 생긴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 일본의 수미오 이지마 박사가 발견했다.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드는 데 충분하다.재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문제를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12
않았다. 이 궁금증은 올해 마도 2호선을 발굴하면서 풀렸다. 선박 안에 놓인 화물 아래로
원통
형 나무토막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양 연구사는 “나무로 배를 만들었던 그때 기술로는 바닷물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완벽하게 막지 못했다”며 “화물이 물에 닿아 썩지 않도록 받침대를 댄 것”이라고 ... ...
막힌 혈관 뚫어 주는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로봇연구소에서 개발한 혈관치료용 마이크로 로봇은 지름 1㎜, 길이 5㎜ 크기인
원통
형 로봇과 미세드릴, 그리고 외부에서 로봇을 조종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어요.로봇연구소는 이 로봇을 실제로 살아 있는 돼지의 혈관에 넣고 조종하는 데 성공했지요. 살아 있는 동물의 몸 속에서 마이크로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가장 정밀하게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말디이온화로 만든 이온을 강한자기장을 만드는
원통
모양의 장치에 넣으면 이온은 자기장 안에서 힘을 받아 회전한다. 이때 무거운 이온일수록 회전하는 속도가 느리므로 이를 이용해 분자량을 계산한다. 이온이 한 번 움직여 검출기에 도착하면 끝나는 이온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09
극지연 극지기후연구부 김영남 연구원이 소속된 연구팀은 최대 4m 깊이의 얼음을 긴
원통
모양으로 채취했다.연구팀은 바다와 맞닿은 얼음 끝에 잔뜩 붙어 있는 녹색 미세조류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깨끗했다. 김 연구원은 “얼음과 맞닿아 있어도 환경에 따라 미세조류의 양과 종류에 큰 차이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