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력
제힘
재원
능동
재산
수입
재력
d라이브러리
"
자력
"(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
과학동아
l
199209
초래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우리가 나가야 할 오직 한 길은 독자적인 위성시스템을
자력
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서비스분야와 함께 제조개발 분야를 함께 추구 해야 한다. 세계 각국의 정책 방향도 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우주산업은 정보화시대의 핵심산업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 지금까지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07
이겨내는 문제(무거우면 지구 탈출이 어렵다)가 쉽게 해결된다.9월/화성궤도선원
자력
과 전기력으로 추진되는 새로운 화성탐사선이 등장한다. 이 탐사선은 화성궤도를 돌기 위해 이온의 반동추진을 이용하는데 축구장 넓이만한 불꽃을 양쪽에서 내뿜고 있다. 10MW의 발전 시설을 갖춘 이 수송선은 1백3 ... ...
새모습으로 활약 시작한 핼리탐사기 「선구호」
과학동아
l
199205
변경후(지구로부터 8만8천9백97km거리) 보내온 측정데이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먼저
자력
계는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지자기권의 꼬리부분이 펄럭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오로라의 발생에 따른 자장변동을 적어도 8회 이상 관측했다. 플라즈마파동관측기는 1백만km에서부터 지구와의 ... ...
원
자력
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04
불안정하다. 틈만 나면 흩어지거나 소멸하려고 한다. 이런 성질을 가진 플라스마를
자력
선의 그물안에 가둬 둘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자장밀폐(magnetic confinement) 핵융합연구가 출발하게 되었다. 이론적으로는 충분히 강력한 자장만 있다면 플라스마에 계속적으로 전류를 흘리면서 가열해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04
심해저탐사 등 본격적인 해양연구를 할 수 있는 1천4백t급 종합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노르웨이 칼센조선소에서 지난 1월 진수식을 가졌다. 세계 수준의 첨단조사장 ... 볼 수 있는 고가의 첨단 장비로서 지금까지 전적으로 외국 기술진에 의존했던 석유탐사를
자력
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
자력
연구
과학동아
l
199203
고스란히 엔지니어링 비용으로 외국 용역회사에 줘야만 하는 것이었다. 제대로 원
자력
발전을 하려면 우리 손으로 타당성 조사도 해야 하고 기본설계와 상세설계를 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을 갖추는 것이 우선 필요했다. 그래서 75년 한국원
자력
기술개발(주)가 설립됐다.미국압력으로 좌절된 핵연료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10
아직까지 요원하다. 다행히 근래에 들어서 몇몇 선도적인 업체에서 서체 관련 기술을
자력
으로 개발하고, 서체도 점차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 디자인과 컴퓨터기술의 접목전산 서체 개발의 어려움에는 많은 원인들이 있는데, 이는 기술적인 측면 디자인적인 측면, 그리고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10
자신의 연구를 진공으로까지 확장시키기 위해 전자유도 법칙을 설명하면서 다루었던
자력
관의 회전모델을 버리고, 오로지 전자기의 물리적 현상과 전기장 및 자기장의 동적인 관계만을 수학적으로 나타냈다. 이것이 바로 맥스웰의 제 3논문인 '전자장의 동력학적 이론'이다. 세번째의 논문에서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09
미션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태양탐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우주선에는 플라즈마계측기
자력
계 등이 실려있다. 현재 목성을 향해 순조로운 비행을 계속하고 있는 이 우주선은 1992년 2월에는 목성 근처에 도달한 후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 황도면을 이탈하면서 태양을 향해 비행하게 된다. 70°의 태양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09
전압(전류의 세기)이 강하면 강할수록 직경이 커짐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한 도선의
자력
선이 옆에 있는 다른 도선에 의해 영향을 받음도 증명했다.수학적 재능이 뛰어났던 앙페르(Ampére, 1775~1836)는 에르스테드의 발표가 있은 지 거의 1주일 만에 전기역학의 기초가 된 '헤엄치는 사람(泳者)의 법칙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