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d라이브러리
"
착안
"(으)로 총 42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전자파노이즈의 위협
과학동아
l
200903
핵폭탄이 폭발할 때 나오는 전자파는 컴퓨터나 통신장비를 무용지물로 만든다. 이 점에
착안
해 미군은 적진에 떨어트리면 엄청난 양의 전자파를 발생해 탱크와 전투기의 레이더와 컴퓨터 등 전자기기 대부분을 마비시키는 최첨단 무기 ‘전자기펄스(EMP) 폭탄’을 만들었다.전자기기 통과의례 ‘EMI,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03
오른눈과 도다리(가자미)가 세 글자, 왼눈과 광어(넙치)가 두 글자인 점에
착안
한 구별법이다. 물론 실제로는 넙치 외에도 별넙치, 점넙치, 별목탁가자미, 넙치가자미처럼 눈이 왼쪽에 붙은 종류가 있으므로 눈의 위치만으로 가자미류를 정확히 구별할 수는 없다.가자미류를 한자로 접어(.魚)라고 ... ...
[고고학]책 나이도 DNA 검사로 OK~
과학동아
l
200902
영문학과 티모시 스틴슨 교수가 필사본이 양피지로 만들어졌다는 점에
착안
해 양피지에서 DNA를 추출해 필사본이 씌어진 연도와 지역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스틴슨 교수와 이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할 사람은 그의 형인 마이클 스틴슨 교수.그는 미국 사우스사이드 버지니아 커뮤니티 칼리지 ... ...
휴대전화에서 차세대 수소저장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02
옮겨 다녀도 전극 재료인 금속산화물의 구조가 깨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에
착안
했다. 여기에 수소가 반데르발스 힘으로 리튬에 결합하는 성질을 응용해 리튬금속산화물에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을 구상했다. 즉 리튬은 수소라는 포스트잇을 쉽게 떼었다 붙일 수 있는 메모판인 셈이다 ... ...
‘에코패션’ 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02
했다.촉감이나 광택이 뛰어난데다가 옥수수 전분이라 생분해된다는 사실에
착안
해 웨딩드레스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결혼식 예복은 보통 실크와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테르로 만든다. 그런데 폴리에스테르는 땅에 묻어도 썩지 않고, 실크는 고가의 수입원단인 경우가 많아 가격이 매우 비싸다.2006년 ... ...
[생리학]돈을 부르는 약손가락?
과학동아
l
200902
때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에 많이 노출된 아기의 약지가 검지보다 길다는 사실에
착안
했다. 그는 “태아 때 테스토스테론에 많이 노출된 사람은 성인이 된 뒤 자신감이 충만하고 위험을 감수하며 재빨리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영국의 경제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즈’의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아이디어를 얻었다.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박테리아파지라고 부르는데
착안
한 연구자들은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스푸트니크를 위해 ‘바이로파지’(virophage)라는 새로운 범주를 만들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클라베리 박사는 “거대 바이러스가 살아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12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메가스터디에서 물리와 과학 논·구술 수업을 하고 있다. 개념을 정확하고 깊이있게 이해하는 능력과 다수 개념을 통합적으로 ... 통과하는 두 매질이 공기와 유리에서 물과 유리로 바뀌면서 굴절률 차이가 더 줄었다는 점에
착안
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12
사라진다는 사실을 깨닫고 에너지 손실 없이 직접 전력을 보내는 방법으로 공명 현상에
착안
했다. (중략) 솔야치 교수팀은 공명을 발생시키기 위해 두 개(A, B)의 구리 코일을 천장에 2m 간격으로 매달았다. 이 중 코일 A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면 코일에 교류전류가 흘러 자기장의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 ...
와인병에 양성자 빔 쏴 ‘짝퉁’ 판별
과학동아
l
200811
지난 100년간 와인병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와인병의 화학성분이 달라졌다는 점에
착안
했다. 즉 와인병을 구성하는 화학 성분만 알면 와인병을 누가, 언제, 어디서 제조했는지 알아낼 수 있다. 게다가 와인병이 제조된 시기에 수확한 포도가 상(上)품인지 하(下)품인지 알면 와인의 품질도 짐작할 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