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1,4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사물인터넷과 만난 스마트 자전거사물인터넷은 사물의 센서가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주고받는 기술이에요. 최근 자전거와 사물인터넷이 만나 똑똑한 스마트 자전거를 만들었답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도난 방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자전거 도난은 큰 ... ...
- Part 5. 안전하게 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전등은 달고, 이어폰은 빼고현재 법적으로는 자전거 뒤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만 있어도 괜찮아요. 하지만 안전을 위해서는 자전거 뒤에 자전거가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려 주는 전등을 다는 것이 좋아요. 또 자전거를 탈 때는 꼭 이어폰을 빼야 해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쓰고 자전거를 타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어린이를 위한 도시를 만든 네덜란드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은 세계 최고의 자전거 도시로 유명해요. 네덜란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인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36%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아요. 고작 2%인 우리나라는 물론, 23%로 2위인 덴마크나 17%인 일본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활성단층의 영향을 받기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이윤수 책임연구원은 “양산단층대는 2300만 년 전 이후 지금까지 큰 지각변동을 여러번 겪으며 에너지가 쌓인 지역”이라며 “이번 지진은 이 에너지가 분출되는 과정으로 보인다”고 밝혔어요. 전문가들은 활성단층의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핵겨울을 조심해!멕시코 ‘유카탄 반도’에는 지름 130km의 크레이터가 숨어 있어요. 약 6500만 년 전, 지름 10km가 넘는 초거대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한 흔적이지요. 과학자들은 이 충돌의 결과로 공룡을 포함한 약 78%의 생물종이 멸종한 것으로 보고 있어요. 소행성 충돌 당시의 충격파도 문제였지만, ... ...
- 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NASA에 진짜 ‘지구방위대’가 있다?!2016년 1월, 미항공우주국(NASA)은 영화에나 있을 법한 조직을 만들었어요. 이름하여 ‘지구방위합동본부(Planetary Defense Coordinate Office, PDCO)’! 지구를 ‘지구위협천체’로부터 지키기 위해 전세계의 힘을 모으는 조직이에요.지구위협천체란 지구와 충돌할 수 있는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다양한 망원경이 소행성 뒤를 졸졸~소행성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행성을 계속 관측해 지금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워낙 작고 이동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 ... ...
- Intro.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안녕~! 난 ‘아이스 에이지’의 시작이자 끝인 다람쥐 ‘스크랫’이야. 애니메이션 속에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지만, 오늘은 어과동 친구들을 위해 특별히 진행을 맡았단다. 사실 이번 이야기는 내가 저지른 짓이 원인이거든. 난 그냥 도토리를 찾으러 갔을 뿐인데, 어쩌다 보니 소행성 조각들이 지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지구를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