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락
천둥소리
우뢰소리
뇌성소리
뇌성
번개
우뢰
d라이브러리
"
천둥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11
주변 공기는 급격히 팽창했다가 수축을 반복하면서 진동한다. 이 진동이 소리로 들리는
천둥
이다.물방울 모양 닮은 무지개하늘에서 벌어지는 물방울의 조화 중 사람들에게 가장 행복감을 주는 것이 무지개라고 한다면 지나칠까. 무지개의 가치는 희소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 아무 때나 아무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08
공룡뼈였던 것이다. 이를 보자 나는 놀라 펄쩍 주저앉고 말았다. 빗줄기는 더욱 굵어지고
천둥
소리와 번개가 하늘이 찢어지도록 내리쳤다. 그러나 나는 온몸이 젖는 줄도 모르고 가방에서 모종삽과 붓을 꺼내어 뼈를 덮고있는 풀과 흙을 벗겨내기 시작했다. 그때서야 다른 탐사대원들도 달려왔다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02
성미가 사납고 눈알이 이마 복판에 하나만 있는 퀴클롭스 3형제였다. 이름은 브론테스(
천둥
), 스테로페스(번개), 아르게스(벼락). 세번째로 나온 이들은 코토스, 브리아레오스, 기에스라고 하는, 팔이 1백개나 되고 머리가 50개 달린 백수거인들이었다.우라노스는 가이아로부터 태어났지만 어머니를 ... ...
번개
과학동아
l
199807
공기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 진동이 소리가 되어 들리는 것이
천둥
이다.이 설명에 따르면
천둥
이 오랫동안 울리는 것은, 벼락이 칠 때 공기의 온도가 장소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소리가 굴절되거나 반사해 서로 다른 길을 통과하기 때문이라고 한다.번개를 유도하는 피뢰침번개를 무서워하는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05
따져 보면 번개가 친 곳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갯불을 본지 3초 만에
천둥
소리를 들었다면 번개가 친 곳까지의 거리는 3백40m/초*3초= 1천20m로 1km가 약간 넘는다.음속이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은 옛 속담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옛말에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12
식품에서 아이스크림·잼·마요네즈 등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 이용된다
천둥
과 번개를 동반한 강우 적란운 또는 거대한 적운(積雲)에 수반하여 발생한다 매초 10m 이상의 격심한 상승기류가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대기의 상승이 대류불안정 상태로 되기 때문 뇌우에는 전선에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12
전하를 많이 집적하여
천둥
번개를 동반하며 그 아랫층에 많은 비를 머금고 있다 따라서
천둥
번개가 치거나 우박이 내릴 경우의 구름은 거의 모두 적란운이라고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대규모적인 용오름의 일종 알기 쉽게 아주 큰 회오리 바람의 일종이라고 생각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이 말은 ... ...
1. 스모그는 왜 새벽에 발생할까
과학동아
l
199611
대체로 날씨가 맑겠으나 곳에 따라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 소나기 구름이 만들어져 가끔
천둥
번개와 더불어 소나기가 내리겠다.”이것은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에서 종종 듣는 말이다. 안개나 스모그는 새벽에, 소나기구름은 한낮이 지난 직후에 잘 만들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09
맴돌다 대원들에게 잡혔다. 야간채집장에는 초청장없이 찾아온 다른 곤충들도 있었다.
천둥
풍뎅이, 땅강아지 등은 요즘 좀처럼 보기 힘든 것들이다. 특히 여왕개미가 등장해 짝짓기를 함으로써 대원들의 눈을 즐겁게 했다.지구상에는 20만종의 나비와 나방이 있다. 이중에서 18만여종이 나방이다.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09
급속히 빨려들어갔다. 그리고는 호수가 잠잠해졌다. 그러나 잠시 후 호수 바닥으로부터
천둥
소리와 같은 굉음과 함께 거대한 물기둥이 가운데에서 솟구쳐 올랐다. 흔히 용오름이라고 말하는 현상이었다.가장 빠른 지그재그 수로 위와 같은 세가지 사건에서 공통점은 바로 나선모양의 소용돌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