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팔다리"(으)로 총 6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10
- 있는 것처럼요. 이렇게 만들어진 가상 캐릭터는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해요. 골룸의 키나 팔다리 길이를 더 늘일 수도 있고, 슈렉의 힘을 더 세게 만들 수도 있어요.”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면?#1 스턴트맨의 동선을 컴퓨터상에서 여러 번 예행연습해 볼 수 있다.#2 로봇의 움직임을 사람과 ...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어린이과학동아 l201409
- “어린이날, 그때 말한 시간에 만나자.” “그때 말한 거기서?”“응, 그때 말한 놀이기구 정말 재밌겠다!” “하하하!”우리 반 친구들이 휴대전화 메신저 채팅방에서 대화하고 있어. 어린이날에 다함께 놀이동산에 가기로 했거든. 그런데 왜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말하지 않느냐고? 그건 이미 자 ... ...
-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과학동아 l201409
- 100m는 스타트가 어느 종목보다 중요하다. 많은 선수들이 스타트 총성이 울린다 싶을 쯤에 미리 몸을 움직인다. 이를 위해 끊임없이 순발력 훈련을 반복하면서 타이밍을 맞추고 반응속도를 높여야 한다. 하지만 너무 빠르면 부정출발로 실격된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규정에 따르면, 총성이 울리 ...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과학동아 l201408
- 외계인의 지구 침공이 시작된 지 벌써 2년. 지구연 합 방위군은 그간 속수무책으로 당해왔다. 스텔 스 전투기도, 항공모함도 무용지물이었다. 외계인의 막 강한 초대형 로봇 ‘데슬레이터(desolator; 방위군에선 이 로봇을 이렇게 불렀다)’ 때문이었다. 전선에 데슬레 이터만 등장하면 즉시 두 손 놓고 ... ...
- 힘이 센 강철 로봇슈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07
- 지난 3월 12일, 이탈리아 산타나대학교 로봇공학연구실 연구팀은 등과 두 팔, 두 다리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입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이 로봇을 입으면 한 팔로 50kg, 두 팔로 100kg이나 되는 물건도 들 수 있답니다. 이 로봇을 이용하면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무거운 재료를 직접 들어 옮길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06
- INSIDE | 생각만으로 외골격로봇 조종한다 6월 13일(한국시간) 브라질월드컵 개막식에서 과학의 진보가 세상을 바꾸는 역사적인 순간을 두 눈으로 꼭 지켜보자. 하반신이 마비된 청소년이 뇌파신호로 움직이는 외골격로봇을 입고 나와 시축을 한다. 이 장면은 생중계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지켜볼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05
- 만들고, 세포 핵에 있는 혹스 유전자를 조작하는 약이 아닐까 추측 된다. 혹스 유전자는 팔다리 등 신체 부위의 모양과 위 치를 결정하는 유전자다. 인간에게는 39개의 혹스 유전 자가 4개의 염색체에 나뉘어 있다. 즉 암줄기세포와 혹 스 유전자의 조합이라면 익스트리미스 전사들의 빠른 재생을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05
- 때문에 오히려 재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소프트로봇이 아닌 정찰용 뱀로봇 등은 팔다리가 없고 제어하기 복잡해 속도가 느렸다.앞서 소개한 MIT 연구팀의 물고기로봇은 0.1초 만에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마치 실제 물고기가 몸을 강하게 경련시켜서 적을 피하는 것처럼 재빠르다. 비결은 바로 복부에 ... ...
- OUTRO 악당이 세계를 정복하려면과학동아 l201405
- 익스트리미스는 희망을 잃은 군인들에게 새로운 삶을 제공했다. 그들은 무한히 돋아나는 팔다리에 희열을 느끼고 킬리언에게 충성했으리라. 매그니토도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동료 뮤턴트를 모았다. ‘X맨: 퍼스트 클래스’에서 동료였던 찰스 자비에와 매그니토가 갈라서는 순간, 미스틱이 ... ...
- 유전자는 몰라~ 네안데르탈인 덩치의 비밀과학동아 l201405
- 의 메틸화 스위치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두 인류의 ‘덩치’ 차이는 결국, 팔다리 유전자를 켜고 끄는 미세한 스위치에 달려 있었던 것이다. 카멜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두 종 사이의 (다른) 신체 특성 차이도 잘 설명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