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광유전학 빛으로 뇌를 조종하다
과학동아
l
201601
등 응용연구도 쏟아졌다. 이제는 인간에게 적용할 방법을 고려할 정도다. 생물
학계
의 지난 10년을 뜨겁게 달궜던, 그리고 2016년에도 새로운 성과가 기대되는 광유전학을 들여다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광유전학 빛으로 뇌를 조종하다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PART2. 광유전학, ... ...
지능을 높이고 유지하는 방법
수학동아
l
201601
분석 결과, 어린이들이 교육을 받으면 지능 지수가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기존
학계
에서 생각해 왔던 것과 달리, 중간에 그만두면 교육을 받으면서 높아졌던 지능이 서서히 떨어졌습니다.프로츠코 박사는 “지능이 발달하는 시기에 학습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해 주는 결과”라면서 “지능이 ... ...
세상에 이런 이름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0
물체의 이름을 따 볼까?존경하는 학자가 아닌 좋아하는 스타나 캐릭터의 이름을
학계
에 남긴 과학자들도 있어요. 고생대에 살았던 절지동물인 삼엽충의 한 종은 ‘Han solo ’라는 학명을 받았어요.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에 나오는 캐릭터 ‘한 솔로’의 이름을 딴 거지요. 또 가수 비욘세의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12
무리 지어 잠복했다가 한 마리를 떼지어 공격하는 보복성 살해 등, 구달 박사의 발견은
학계
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이 발견은 영장류에게서 심심치 않게 보이는 영아살해(수컷이 기존 수컷을 몰아낸 뒤 집단의 새끼를 죽이는 행위. 암컷의 배란기를 유도)와 더불어 큰 논란거리를 안겨줬다. 다른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
수학동아
l
201512
됐다.수학자들에게 라마누잔의 노트는 분명 이상해 보였겠지만 충분히 매력이 있었다.
학계
에서 쓰지 않는 기호로 증명 없이 써 놓은 공식이 나중에 의미 있는 정확한 식으로 판명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라마누잔이 세상을 떠난 뒤 여러 수학자들이 라마누잔의 노트를 연구했다. 현재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11
강도)에는 전혀 상관없이 오직 빛의 진동수에만 비례한다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물리
학계
는 당혹감에 휩싸였다. 진동수가 특정한 기준 이하로 작은(파장이 긴) 빛은 아무리 강한 세기로 비춰도 전자가 튀어나오지 않았다. 반면 진동수가 기준 이상으로 큰(파장이 짧은) 빛은 아주 약하게만 쪼여도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11
공룡은 정말 악어와 비슷한 파충류였을까?KEY 1 성장률로 체온 계산1990년대만 해도
학계
에서는 공룡이 악어나 거북처럼 냉혈동물이라고 생각했다. 현존하는 파충류가 대부분 주변 온도에 영향을 받는 냉혈동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룡이 포유류나 조류처럼항온동물에 가깝다는 주장이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
과학동아
l
201511
역시 예측된 양의 2분의 1 정도였다. 수퍼카미오칸데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학계
에서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전자 중성미자가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로 바뀌어 관측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했다.아서 맥도날드 교수는 태양 중성미자 문제가 정말 진동변환 때문인지 밝혀내기 위해 흔히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11
서기 150년에 편집한 별 목록표를 아랍어로 번역한 ‘알마게스트’가 이후 동서양 천문
학계
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최근 이용복 서울교대 명예교수와 이용삼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전준혁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등은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와 알마게스트를 비교 분석해 칠정산외편의 별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11
포함해 12~13개의 뉴클레오티드를 잘라내는 효소였다. 1983년 이 사실을 밝힌 논문은
학계
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산자르는 성과를 인정받고 노스캐롤라이나대 생화학 교수로 부임해 현재까지 해마다 수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필자가 산자르 교수의 연구실에서 수학하며 가장인상적이었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