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약
계약
조약
맹약
합의
규약
동의
d라이브러리
"
협정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분류학자가 극히 드물어요. 분류학연구논문도 거의 없었구요. 우리가 북한과 과학
협정
을 체결하고 연구를 시작한 때부터 북한에 분류학 연구를 함께 할 사람이 있는지 알아봤지만 현재까지는 특별한 사람이 나서지 않은 걸로 압니다. 공동연구를 한 예도 전혀 없습니다.박규택-우리가 한국 곤충으로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12
년 런던조약 이후 해양처분은 조금씩 규제되기 시작해 최근에는 각국간의 외교적 노력과
협정
에 의해 엄격하게 상호통제되고 있다.가장 현실적이고 계속해서 감시의 눈총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은 육지처분이다. 이 방법에는 천부(淺部)처분(shallow ground disposal) 공동(空洞)처분(rock cavity disposal) ... ...
미국과 영국이 84%나 차지
과학동아
l
199012
넣어져 포장되지만 액체상태로 그냥 버려진 경우도 있었다.80년대초 세계 각국의 통상
협정
과 외교적 노력에 의해 핵폐기물이 바다에 버려지는 행위는 잠정적으로 금지됐다. 그러나 이번 런던폐기물회의에서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등은 이러한 금지조항을 공식화하려는데 반발했다. 특히 핵폐기물에 ... ...
소련 디아로그사와 기술
협정
과학동아
l
199012
최근 소련 디아로그사와 소프트웨어 기술교류
협정
을 체결했다. 이
협정
은 디아로그사와 그 협력기관인 모스크바 물리학연구소가 개발한 첨단소프트웨어의 한글화 및 기술정보 기술인력교류 등에 관한 것이다.이에 따라 세종정보통신이 국내에 소개할 소련산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11
시추가 시작되었다. 67년에는 국립지질조사소와 대만 석유공사 사이에 포항지역 시추사업
협정
이 체결되어 대만 기술진이 시추장비와 함께 내한하여 3개공의 시추를 했다. 본격적인 시추장비가 동원된 이 시추에서도 석유발견에 성공을 못하자 이 지역의 탐사는 일단 중단되었다. 75년에 정부는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10
문제점도 더러 노출되고 있다.아울러 충남대와 연구단지 기관장협의회 사이에 연구협력
협정
이 맺어져있긴 하지만 지역사회와 산·학·연 교류가 활발하지 못한 것도 큰 문제 가운데 하나로 지적된다. 과학문화도시를 지향어쨌든 이같은 결점에도 불구하고 대덕연구단지는 과기처장관이 위원장이 ... ...
50~1백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물개
과학동아
l
199009
살육해 왔다. 지금은 해마다 일정한 마리수의 어린 수컷만을 잡도록 허용하는 물개보호
협정
이 체결돼 있다.현재 물개는 북반구에 약 1백50만 마리가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남아메리카에서도 우루과이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이 물개서식지 보호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그 숫자는 알 수 없다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08
이에 따라 일본측의 기본자세도 최근 큰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5공시절 한일 과학기술
협정
을 체결할 때 얘기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전부 합의해 놓고 전문을 작성하는데 '산업기술 협력을 강화하고…' 라는 문구 때문에 한창동안 옥신각신한 적이 있습니다. 일본측에서 '정부가 기업에 이런 ... ...
기술장벽 뛰어넘는 호기로 삼아야
과학동아
l
199007
몇 건의 산발적인 교류가 있었다. 지난해 10월 연세대가 모스크바대와 연구협력
협정
을 맺었고 건설기술연구원이 소련동토연구소와 극한지 건설기술 공동세미나를 열기도 했다.한소 과학기술교류가 본격화된 것을 역시 올해부터. 지난 2월 소련 과학아카데미 수석부원장인 콘스탄틴 플로로프씨가 ... ...
금년 노사
협정
의 쟁점 「유해위험작업」
과학동아
l
199005
정상적인 사람이 주 40시간씩 20년동안 일했을 때 직업병에 걸릴 확률 5%가 허용기준치.노동자들의 유해위험작업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올해 노사협상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유해위험작업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는 여전히 허점투성이라는 지적이다.근로기준법 43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