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량"(으)로 총 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2012년 10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항공우주국(NASA), 노스롭 그루먼사가 2대의 개량형 글로벌호크를 13.7km 상공에서 9m까지 근접 비행시키는 데 성공한 바 있습니다. 이착륙 때 연료를 가장 많이 먹는데… 전투기처럼 사출하는 여객기_ECO-CLIMB◀ 에어버스는 항공모함의 전투기 사출기 ... ...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9월 1만 번 째 실험 돌파한 케이스타현재 케이스타는 연구원들의 노력과 끊임없는 성능 개량으로 꾸준히 좋은 연구 결과를 내고 있다. 지난 9월에는 1만 번째 실험을 돌파하기도 했다. 양형렬 부장은 “1만 번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숱한 실험에도 기기가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것이 시작이었다. 일제강점기동안 우수한 외래종이 계속 들어왔고, 재래닭은 ‘품종개량’이라는 미명하에 사라져 갔다. 결정적인 타격은 역시 6.25전쟁이었다. 보이는 대로 잡아먹힌 데다 레그혼, 뉴햄프셔 같은 ‘외국 닭’이 원조물자로 40만 마리나 쏟아져 들어오면서 멸종에 직면한다. 다행히 ...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말했다.우리나라는 1906년 권업모범장을 설립해 최초로 재래종을 수집하고 품종 개량에 나섰다. 당시 논의 쌀 평균 생산량은 현재(500kg)의 절반도 안 되는 237kg이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으로부터 새로운 품종이 도입돼 쌀 생산량이 320~360kg까지 늘었다. 쌀 생산량이 증가했음에도 일제의 수탈과 ...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그 회사로 달려갔고 설계자 버트 루턴과 의기투합했다. 조종사 한 명이 탔던 우주선을 개량해 조종사 2명과 승객 6명이 탈 수 있는 스페이스십2를 만들 었다. 더 강력한 로켓 엔진을 만들어 2007년 첫 엔진 시험을 했지만, 너무 무리하게 진행한 탓에 폭발사고가 일어나 세 명이 숨졌다. 6년간 힘겹게 ...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선인장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따뜻한 실내에서 보살펴 주세요.화분에 담긴 선인장은 작은 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량한 품종이 많아요. 그래서 선인장연구소의 선인장처럼 몇 미터씩 크기는 힘들지요. 하지만 정성껏 보살피면 최대 수십 년까지 살 수 있답니다. 이번 봄에는 집에 선인장 한 그루씩 들이는 게 어떨까요? 오랜 ...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번 화성탐사에 참여하면서 쏘아 보낸 화물선과 착륙선, 우주선들이었다. 한국도 개량형 한국형발사체 KSLV-3에 자체 개발한 각종 컴퓨터와 통신장비, 화성차량 등 50t의 화물을 실어 고흥 나로센터에서 발사했다. 우리는 발사 후 1주일 동안 400km 궤도를 계속 돌며 각국의 화물선과 도킹과 분리를 ...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어요. 마우스보다 크기 때문에 해부를 할 때도 내부 장기를 살피기 쉽습니다. [생쥐를 개량해서 만든 실험용 마우스는 가장 많이 쓰이는 실험동물이다. 좁은 공간에서 여러 마리를 키울 수 있고, 약물 실험에 들어가는 약물도 적어 경제성이 뛰어나다.] 애완용으로 많이 기르는 햄스터와 ...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어렵다. 사람들은 수박 새싹과 박 새싹을 접붙이기로 붙여 맛있고 빨간 과육이 커지도록 개량했다. 귤, 사과, 참외 모두 마찬가지. 그러니 과일의 씨를 심어도 제대로 된 과일은 얻기가 어렵다.꿈을 위해 떠나 보자아직 커서 무엇이 될지 모르겠지만 미래의 내 멋진 모습을 꿈꾸며 일단 자리를 잡아 ...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역시 cos을 독창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며, 건터와 마찬가지로 이전에 쓰이던 기호를 개량한 것이다. 우선, 1620년 건터가 라틴어 complementum(영어의 complement)와 sinus를 합친 ‘co.sinus’를 제안했고, 1658년 뉴턴이 cosinus로 수정했다. 이 cosinus가 영어로 cosine으로 번역된 뒤, 오일러가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