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d라이브러리
"
게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토뉴스] 자연재해를 설명하는 수학 법칙 발견!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자연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면 앞으로 벌어질 사건에 대비할 수 있는데요, 최근 통계 분석으로 다양한 자연재해를 수학 법칙으로 설명한 연구 결 ...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 및 우주과학’ 6월 10일자에
게재
됐습니다.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뒤 마침내 7월 16일 학회지로부터
게재
승인이 떨어졌다(아래 사진). 논문은 JKAS 10월호에
게재
될 예정이다. 당시의 희열과 감동은 어떤 말로도 표현하기 어려울 만큼 벅찬 감정이었다. 새로 찾아낸 209개의 성단에는 나를 포함해 연구에 도움을 준 연구자들이 소속된 기관의 영문 첫 글자를 땄다. 나와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7월 12일자에
게재
됐습니다.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신약 개발의 걸림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시스템 생물학’ 7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습니다. ... ...
[과학뉴스] ‘덜 자랐군, 패스~’ 양상추 수확하는 AI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양상추를 수확하는 로봇을 개발했다. 양상추는 지면에 평평하게 자라는데다가 손상되기 쉬워 수확을 자동화하기가 어 ...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필드 로보틱스 저널’ 7월 7일자에
게재
됐다. doi: 10.1002/rob.2188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비난했다. 이에 대한 타깃 말라리아의 고민은 GM 모기 첫 방사를 맞아 홈페이지에
게재
한 발표문에서도 드러난다. 이들은 발표문 내용의 대부분을 지역 사회 및 환경단체와 어떻게 협력하고 있는지 서술하는 데 할애했다. 디아바테 책임연구원은 발표문에서 “지역 사회의 의견을 듣고 그들의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지구과학과 교수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06년 5월 5일자에
게재
한 기고문에서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에서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물이나 탄소보다도 질소의 흔적을 찾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doi:10.1126/science.1111863 생명체가 가진 질소 중 ... ...
[수학뉴스] 수학증명, 인공지능에 맡겨라!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구글 연구팀이 수학 정리를 증명하는 인공지능 ‘HOList’를 만들어 화제입니다. 수학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은 무척 복잡해서 인공지능이 하기 ... 정말 인공지능이 수학자처럼 증명하는 날이 올까요? 이번 연구 결과는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4월 5일 올라왔습니다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2018년 6월 호에
게재
됐다. doi:10.1371/journal.pbio.2004929 TRP-1과 TRP-2의 기능이 고장나도록 돌연변이를 유도한 예쁜꼬마선충은 직진하지 못하고 왼쪽으로만 움직였다. 김 교수는 “TRP-1과 TRP-2를 모두 망가뜨리면 예쁜꼬마선충에서 .. ...
[6월의 수학자] 싫다 싫어 상도 명예도~ 필즈상 거부한 그리고리 페렐만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기하학적 위상수학 분야를 연구했습니다.그러던 2002년 11월, 페렐만은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에 논문을 발표합니다. ‘기하화 추측’의 증명을 다룬 이 논문은 곧 수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킵니다. 논문에 ‘푸앵카레 추측’의 증명도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죠. 1904년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