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인터뷰에서 “스프링 캠프에서 박병호 선수를 2번 타자와 3번 타자로 둘 다 세워본 결과 한 시즌에 2번 타자는 3번 타자로 나올 때보다 40타석 정도 더 설 수 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보통 2번 타자는 발이 빠른 타자를 쓴다. 1번 타자가 출루하면 안타 또는 희생 번트를 통해 주자를 득점권에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는 이 같은 방법으로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한 팀의 경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승팀인 스페인의 패스 수는 다른 국가보다 월등히 많았고, 삼각형 구조로 패스를 주고받는 능력이 뛰어났다. 이뿐만 아니라 스페인 팀은 사이 중앙성 값도 작았다. 독보적인 스타 선수 중심이 아닌 모든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있던 올드 트래퍼드 경기장 면적에서 애슐리 영이 차지하는 비율까지 고려했다. 그 결과 새가 똥을 쌌는데 애슐리 영 선수 입에 들어갈 확률은 3.83105946778710-19이었다. 확률이 0이 아니니 일어날 수 있는 일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희박했다. 그런데 그런 일이 축구 경기 도중 일어난 것이다. 보고도 ... ...
-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고요. 송안나 독자위원 숏폼 콘텐츠를 자주 보는데다가, 요즘엔 게임마저 짧게 끝나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게 좋아졌어요.이런 이유로 저는 스스로를 도파민 중독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성하다가도 어느 순간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저를 발견하기도 해요.최정원 독자위원 스스로를 도파민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쉽게 빠져들 수 있다.해당 연구를 함께 살펴본 김주현 선임연구원은 “비록 동물 실험 결과지만 특징적인 뇌 회로의 발달이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며 “유튜브 콘텐츠를 계속 보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멈출 수 없는 현상을 ... ...
- [과학뉴스]작고 빠른 소금쟁이 로봇 비결은 형상기억합금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미니버그’를 발표하고, 같은 해 12월 13일 국제학술지 ‘IEEE Xplore’에 연구 결과를 실었다. doi: 10.1109/IROS55552.2023.10342518워터 스트라이더는 소금쟁이처럼 다리를 이용해 수면 위에 뜰 수 있다. 로봇의 무게는 55mg, 미니버그의 무게는 이보다 더 가벼운 8mg이다. 두 로봇 모두 초속 약 6mm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오른쪽 페이지의 이미지는 은하단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나타낸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다. 컴퓨터는 격자 프레임 하나하나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은하단속 암흑물질과 주변 가스의 흐름을 계산해 색으로 정보를 표현했다. 인류의 역사 내내 과학과 예술은 우주를 주제로 교차한다. 그렇게 탄생한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 수학은 왜 이런 연구를 하는 걸까? 이렇게 수학계를 들썩이게 한 새로운 램지 수 연구 결과를 소개해봤습니다. 자, 이쯤 되면 드는 생각이 있을 겁니다. 수학자들은 왜 이런 증명에 수 년, 수십 년을 매달리는 걸까요? 세 사람이 있으면그 중 두 사람은 같은 성별(gender)이다.- 다니엘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짝별상대성 이론 증명할까 공전 주기, 질량, 공전궤도 경사각, 기원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펄서 PSR J0514−4002E의 동반성은 ‘무거운 중성자별’, 혹은 ‘가벼운 블랙홀’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지금까지 밝혀진 정보만으로는 당장 둘 중 무엇인지 정확하게 밝힐 수 없다. 그럼에도 이번 발견은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갈릴레이였습니다.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사용해 목성을 오랫동안 관찰했어요. 그 결과 목성 주변에 네 개의 조그마한 점이 목성 주위를 빙글빙글 도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하늘에 있는 천체가 지구 말고도 다른 것을 중심으로 돌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알아낸 것이지요. 또한 갈릴레이는 우리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