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켰다. 그 결과, AI가 X선 스캔 데이터 상에서 글자가 있던 곳과 없던 곳을 구별해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 결과는 2023년 4월 4일 논문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됐다. arXiv: 2304.02084 더 높은 해상도의 X선 스캔 데이터도 확보됐다. 연구팀은 2019년부터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들은 동아시아 지역 4개 도시(홍콩, 타이베이, 부산, 도쿄)의 다회용컵 대여 업체 5곳에서 다회용컵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다회용컵과 일회용컵이 각각 생산되고, 운송, 폐기되기까지의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했다. 이때 계산한 환경영향 척도는 기후변화에 미치는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물방울 외에 무지개가 비쳐 보일 곳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브로켄 현상은 구름과 같은 곳에 빛이 비쳐야만 보입니다. 또 다른 점이 있다면 일반적인 무지개는 속이 빈 도넛을 반으로 자른 모양인 반면, 브로켄 현상은 속이 차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23년 8월 2일 오전, 제주도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모든 수에 대해 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일명 ‘피자 정리’! 중심을 어느 곳으로 잡든 일정한 각도로 자르면 n명이 4n 조각을 똑같은 양으로 나눠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두 종류의 AI가 나오는데 어떤 AI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달라지지요. 하나는 의 이르모스, 하나는 ‘타디그레이드 피플’의 우나예요. 이르모스가 감정적이라면 우나는 논리적이지요. ‘타디그레이드 피플’에서는 이 두 세계를 붕괴해서 우나 쪽으로 나아갔을 때 펼쳐지는 ... ...
- [과학뉴스] 지하 1.5km 아래에도 다채로운 미생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예를 들어, 사람은 척삭동물문이고 나비는 절지동물문이에요. 연구팀은 “지하 깊은 곳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다채로운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종도 발견됐어요. 오스번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미생물들이 “기존 탐사나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여러분이 저와 함께 여행을 떠날 메타버스는 바로 로블록스예요!로블록스는 무엇을 하는 곳일까요? [편집자 주]로블록스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로블록스, ... ...
- 개념 쏙쏙! 놀이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선수 입장! 공깃돌을 굴려 점수판 위 원하는 숫자에 올려 봐요.공깃돌이 놓인 곳의 숫자를 이용해서 가장 큰 수를 만드는 사람이 승리! 묶어 묶어! 젤리 가게 젤리 가게에 손님들이 찾아왔어요. 손님이 주문한 젤리를 10개씩 묶고, 부족한 젤리는 색칠해서 채워 보세요. 그다음, 묶음과 낱개는 각각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상상해보자. 시신도, 흉기도 없는 살인사건을 밝히기 위해서 당신이 가장 먼저 찾아야 할 곳은 대검찰청 과학수사부다. 2015년 설치된 대검찰청 과학수사부는 형사사건의 감정물에서 DNA를 감정하는 일부터 디지털 범죄 수사, 사이버 범죄 수사 등 다양한 과학수사 업무를 수행한다. 형사사건 발생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10%만 의사과학자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세계에서 의사과학자 양성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미국이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1964년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MSTP嘜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을 시작했다. 당시 베트남 전쟁 중이었던 미국은 의대 졸업생이 MSTP로 2년 동안 연구에 전념하는 경우 병역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