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목"(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말했다. 승재 씨는 G-SURF를 마치고 회로 이론을 비롯해 전자, 컴퓨터와 관련된 다른 학부 과목을 수강하기 시작했다.4년 동안 지스트에 재학한 수환 씨의 활동은 더 화려하다. 특히 SAP(Study Abroad Program)가 눈길을 끌었다. SAP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나 칼텍에서 정규학기를 한 학기 동안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건 나만이 할 수 있는 일!권 작가님에게 어릴 때 수학을 좋아했냐고 묻자 곧바로 “최애 과목이었다”라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어려울 때도, 많이 틀릴 때도 있었지만, 문제의 답을 맞혔던 경험이 쌓이면서 재미를 느꼈다”고 말했죠. 그 때문에 수학의 모든 분야를 좋아했는데, 특히 복권 같이 ... ...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안 된다고요? 그렇다고 해도 낙담하지 마세요. 사람마다 다른 것은 당연합니다. 다른 과목이 쉽고 재미있으면 그것을 더 잘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죠. 그런 친구들도 많이 응원합니다.” ● 최 장관님이 준비한 과학의 달 선물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온라인 과학문화포털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심리학’ ‘음악’ ‘공학’이다.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대학에서 심리학 기반 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좀 더 먼 미래를 위해 공대에서 수학하고 있다. 그리고 나의 과거, 현재, 미래에는 이 모든 것을 망라하는 음악이 있다.내가 심리학과를 선택한 이유는 대학에 입학했을 당시 가장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우선 ‘잘 못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게낫다”고 조언했습니다. 수학은 여러 과목 중 한 과목일 뿐이니 수학이 너무 어려우면 커서 수학을 조금만 사용하는 진로를 선택하면 된다는 거죠.하지만 이 말이 수학을 쉽게 포기하라는 말은 아닙 니다. 최선을 다해 연습하되, 수학자가 될 것이 아니라면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데이터사이언스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책임감 있는 데이터사이언스’란 AI 윤리 과목을 이수해야만 한다. 국내에서는 2022년 초·중·고교에서 AI 윤리를 포함한 ‘AI 교육’이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최 교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AI 전체를 설계하는 기획자까지 모두 교육이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KAIST는 파격적인 새 학제 ‘융합인재학부’를 신설해 미래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전 과목을 학점 없이 통과/탈락(SU)제로 수강하며, 졸업요건은 책 100권 읽고 서평쓰기와 발명품이나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제출입니다. 학부장을 맡은 정재승 KAIST 교수는 “10년 후, 20년 후 우리 사회에 대체 불가능한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윤리 교육도 점차 확대되는 중이다. 엄 교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연구윤리 과목을 정식 커리큘럼에 넣어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며 “연구활동을 하는 당사자가 아닌 교무위원, 행정직을 수행하는 사람들도 연구윤리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실습 강의가 재밌다. 당시 전산학과 학생들은 소프트웨어 과목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과목도 많이 수강했다. 소위 ‘빵판’이라고 부르는 실습용 회로보드에 손톱만한 전자부품을 수십 개씩 꽂고 납땜을 해서 계산기나 광고판 등을 만든다.오늘도 여느 때와 다름없이 회로를 잇고 납땜을 한 뒤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인공지능, 제조기술, 소재기술, 기계설계 등의 키워드를 우선 선정한 뒤 그에 맞는 과목들을 선정했다”며 “최신의 정보통신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만큼 13명의 교수 중 대부분을 신임급 교수로 채용했다”고 밝혔다.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산업통산자원부와 경상남도, 창원시가 국가지정학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