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물"(으)로 총 8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기장은 불규칙하긴 하지만 평균 25만 년을 주기로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자성을 띠는 광물이 포함된 암석들을 근거로 과거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 등을 역추적한 결과다. 가장 최근에 지자기 역전 현상이 일어났던 때는 78만 년 전이었다. 도 교수는 “지자기 역전 현상은 사실 자북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구적 물질순환, 과거 대륙과 생물의 분포, 습곡 단층과 같은 지질구조의 형성, 암석과 광물의 생성 및 변성에 이르기까지 연구 대상을 막론하고 학자들은 판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이후 ‘플룸 이론’ 등 판구조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일부 현상을 보강하는 이론들이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 플레이어의 장인 정신을 본격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만드는 게 광물 블록 중 하나인 ‘레드스톤’입니다. 레드스톤은 마인크래프트에서 전기 회로를 만들 수 있는 블록으로, 레드스톤을 잘 활용하면 전등이나 자동문, 엘리베이터 심지어 간단한 컴퓨터까지 만들 수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Q 언제부터 화학 결정을 대상으로 사진을 찍었나요? 10년 전에 지질학에 관심이 있어 광물을 찾아다녔어요. 그러다 모은 결정을 현미경으로 구석구석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어졌지요. 그렇게 작은 결정 사진을 찍기 시작했답니다. 그런데 핀란드의 겨울은 6개월 정도로 매우 길고 바깥에는 온통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돌아다니면서 탐사 초반 전초기지로 사용할 만한 동굴이 있는지, 미래 자원인 헬륨 등 광물이 얼마나 매장돼 있는지 등 탐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당초 2020년 달 궤도선 발사, 2025년 달 착륙선 발사 등 달 탐사 로드맵을 확정했지만, 지난해 달 궤도선 발사는 사실상 무기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석을 채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먼지를 털어내세요. 소중한 보석광물이 깨지거나 금이 가면 안 되니까요. 발굴한 보석광물을 물로 씻어내 이물질을 제거하면 반짝반짝 빛나는 보석을 볼 수 있어요.보석을 깨끗하게 캐냈다면 보석 도감을 꺼내 이름을 확인해 보세요. 하얗고 깨끗한 수정부터 수정에 철 성분이 약간 들어가 보라빛을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가져갈 순 없을 테니까요. 다행히 달에는 엄청난 양의 알루미늄이 있고요. 그런데 광물에서 알루미늄을 얻을 땐 부산물로 활성산소를 얻게 돼요. 만약 여러분이 우주에서 산소를 얻게 된다면, 어떻게 쓸 건가요? 당연히 호흡을 하는 데 사용하겠지요.Q 아르테미스는 달의 적도 근처에 있어요. 그런데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3을 찾을 수 있어요. 타이타늄과 산소, 철 등이 뭉쳐 암석 ‘일메나이트’가 만들어질 때, 광물 입자 사이사이에 공간이 생겨요. 지구라면 중력 때문에 그 공간이 아주 작지만,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지요. 따라서 달에서는 그 사이 공간에 태양에서 날아온 헬륨-3이 끼어들 수 있는 ... ...
- 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다이아몬드에서 ‘칼슘 실리케이트(CaSiO3) 페브로스카이트’라는 광물을 발견했어요. 이 광물은 지구 내부에 네 번째로 풍부하고, 맨틀을 이루는 중요한 물질이라고 알려졌지만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물질을 본 적이 없었지요. 이 물질은 불안정해서 지구 내부 650km 부근에서만 정상적인 상태로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해요. 1812년 독일의 지질학자 모스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물을 서로 긁어 보며 상대적인 굳기를 비교해 1부터 10까지 나타냈어요. 이 중 다이아몬드는 굳기 10으로, 다이아몬드에 흠집을 낼 수 있는 건 같은 다이아몬드밖에 없답니다. 그래서 채굴된 다이아몬드의 80%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