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계
프런티어
경계선
d라이브러리
"
국경
"(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무덤이라 할 이 사태가 남한이나 중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한-중
국경
에 위치한 백두산은 한국 역사에서 민족의 성지입니다. 그런데 10세기 경에 있었던 백두산 화산 분출이 지난 1만 년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규모였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환태평양 화산대에서 멀리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발간했다.그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아찔한 순간도 있었다. 동티모르와 인도네시아
국경
근처의 마을에서 암석시료를 채취할 때였다. 갑자기 정글도를 손에 쥔 마을 사람 30여 명이 나타나 우리를 촌장 집으로 연행했다. 그들은 운전사를 보내 동티모르 지질광물자원국 직원을 데려오도록 한 뒤,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병원이다. 코끼리 병원에는 위장염 증세를 가진 코끼리 한 마리와, 미얀마로 넘어가는
국경
에서 지뢰를 밟아 큰 상처를 입은 코끼리 한 마리가 입원 중이었다. 지뢰를 밟아 발바닥이 갈라져 속살이 보이는 코끼리는 계속 통증을 호소하는 것처럼 보였다. 탐사대는 한마음으로 코끼리의 건강을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만들 수 있다. 제작비도 싸다. “선생님과 2주에 한 번씩 1년 내내만났어요. 삼국시대
국경
의 변화를 알려주는 입체 지도는 선생님 요청에 따라 가르치기 가장 쉬운 형태로 만든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같은 문화재라도 다른 관점에서 관찰하고 싶다면, 디지털 모델만 조정해 그 부분만 더 세밀하게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공격하는 정확한 작동원리가 알려져 있지 않아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국경
없는의사회는 지난해 11월 12일부터 서아프리카에서 브린시도포비르와 아비간의 대규모 임상시험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임상시험은 4000명 이상 대상으로 두 달간 진행될 예정이며 결과는 2월에 알 수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하죠.기준이 왜 바뀌었을까요? 세계화가 되면서 문화가
국경
을 넘나들기 시작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이제 화병을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 거죠. 새로운 진단 기준을 만드는 데 참여한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프리카의 낙후된 교통도 한몫했다. 불행히도 이번에는 에볼라가 대중교통을 타고
국경
을 넘었다. 지난 3월 기니에서 라이베리아의 수도 몬로비아까지 에볼라가 퍼지는 데는 버스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라이베리아 북부 지역에 살던 여성이 가까운 기니의 시장에 다녀온 뒤 에볼라에 감염돼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이런 사실은 세계 수학계의 통일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타 학문에 비해서 수학자들은
국경
을 초월한 의사소통을 쉽게 즐기고, 수학의 중심지에서는 세계 어디로부터든지 뛰어난 수학자를 끌어모으는 일이 흔하다. 이런 취지에서 세계수학자대회는 1897년부터 계속되어 왔고, 특히 젊은 수학자에게는 ... ...
대한민국은 결핵왕국? 교도소 결핵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세르게이 몸 안에 있던 결핵균이 바로 나와 내 가족을 해칠 수도 있어요. 전염병에 이미
국경
의 의미는 사라졌어요. 인천공항을 통해 하루에도 10만여 명이 출입국하고 있고, 결핵균은 검색대 사이로 유유히 빠져나 동반자가고 있지요. 실제로 전세계 대도시는 평균적으로 결핵 환자 비율이 높은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한다는 주장이 세계적으로 나오고 있다. ‘적정기술 2.0’ 논의다. 국내에서는 2013년 9월
국경
없는과학기술자회와 과학기술나눔공동체가 공동으로 ‘적정기술 2.0: 물과 미래’라는 세미나를 개최하면서 화두로 떠올랐다.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적정기술 2.0을 이전의 적정기술과 다르게 정의하는 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