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정
증여
기여
기부
수여
선물
공연
d라이브러리
"
기증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가 살아숨쉬는 한국현대의상박물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버리지 않고 모아두셨죠. 게다가 수많은 디자이너와 유명인들이 박물관을 위해 작품을
기증
해 주셨어요. 이렇게 모은 의상만 약 4000점에 달한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박물관이 작은 탓에 모두 전시하지는 못했어요.자, 그럼 본격적으로 한국패션 100년사의 옷장을 들여다볼까요? 현대 패션의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덧붙였다.조병철 사무처장은 “1980년대만 해도 유럽 최저였던 스페인의 인체조직
기증
율이 지금은 세계 1위”라며 “‘스페인 국민이라면 모두 받을 권리가 있고 모두 줄 의무도 있다’는 국민들의 의식과 제도의 뒷받침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곧 그렇게 될 거라 믿는다”며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불가능하다. 이 사실을 아쉬워하던 그에게 한 독자가 우연히 구한 플루토늄을
기증
하겠다고 나섰다. 그레이 박사는 고민 끝에 정중히 거절한다. 짐짓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지만, 아쉬움이 묻어나는 그 대목에서 웃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렇게 만든 주기율표로 그레이 박사는 포스터와 탁자를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 미라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해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김한겸 교수는 “2009년
기증
돼 MD-CT와 X선으로 조사한 정보를 분석 중”이라며 “1년 이상 연구하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소개하기 위한 다양한 교재와 함께, 한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은 컴퓨터 세 대도
기증
했다.쿠소의 수업을 직접 듣지 못한 학생들도 한국관을 찾으면 수업패널과 전시물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 같은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꾸며둔 셈이다.김한겸 단장은 “차별화된 과학교구를 이용한 체험식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65~185㎝로 평균 키를 가진, 불임부부의 고통을 이해하는 용기 있는 지원자라면 누구나
기증
할 수 있다.잠깐 ! 있다? 없다? 개 정액은행개의 정액을 보관하고 유통하는 개정자은행은 이미 미국에서는 낯설지 않은 사업이다. 탐지견, 인명 구조견, 장애인 도우미견처럼 우수한 혈통으로 검증받은 수컷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결돼 있다. 김 교수의 과학콘텐츠를 읽은 독자들이 자발적으로 사이버머니 ‘콩’을
기증
하면 네이버 측이 소외 청소년 교육에 쓴다.그가 처음 ‘미래뉴스’ 블로그에 글을 쓴 것은 지난해 10월.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기 때문에 장기 부족 문제를 가장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장기
기증
자를 찾지 못한 신장병 환자가 인공신장을 이용해 혈액 투석을 받고 있다. 2020년 이후 '바이오 이종 장기' 기술이 보편화되면 이 같은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 조작이 해답이종 장기의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잠비아, 몽골, 필리핀 등에도 계속 정수장치를 지원할 계획이다.“단순히 정수 장치를
기증
하는 것만으로는 주민들의 먹는 물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쉽게 정수 장치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해 나누고 있습니다.”토양환경연구실에는 비소 오염 처리 기술을 배우기 위해 유학 온 ... ...
인공 난소 개발…암 환자 불임 치료길 열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미국 브라운대와 로드아일랜드 여성·아동 병원 합동연구팀은 임신 적령기의 여성에게
기증
받은 난소 세포를 배양해 사람의 난소와 같은 기능을 하는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9월 14일 밝혔다.이 같은 성과는 제프리 모건 브라운대 의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3차원 세포 배양기술 덕분이다.모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