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2024년 생성 AI는 어떤 모습일까.’ ‘미드저니’에게 물었습니다. 복잡한 기계로 가득 찬 머릿속, 여성을 닮은 얼굴, 응시하는 파란 눈동자. 이미지 생성 AI가 그린 ‘자화상’은 미래적이고 인간적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이 보신 이번 1월호 표지입니다.) 미드저니가 깊은 고민 끝에 그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길을 걷다가 로봇과 마주치면 어떤 기분일까요. 지능형로봇법 개정안이 2023년 11월 17일 시행되면서 한국에서도 ‘실외 이동로봇’을 활용해 물건을 배달하고 거리를 순찰하는 일이 가능해졌습니다. 이제 운행안전인증을 받은 자율주행 로봇에는 ‘보행자’ 지위가 부여돼요. 로봇과 나란히 신호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의사와 과학자가 각자 그리는 동그라미가 아주 조금 겹쳐 있다. 벤 다이어그램 속 이 부분집합은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이공계 박사학위를 취득한 ‘의사과학자’들의 자리다. 의사과학자들은 누구이며,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세 명의 의사과학자를 만나 그 이야기를 들어봤다. 화학 영재가 의대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공처럼 둥근 자세를 취하고 있는 고양이의 털을 가마가 생기지 않도록 빗을 수 있을까? 놀랍게도 이 엉뚱한 질문을 19세기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와 독일 수학자 하인츠 호프가 연구했다. 가마는 털이 한 점을 중심으로 빙 돌아서 나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된 부분이다. 물론 두 수학자가 고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연재 기사는 기존의 알던 수학에 질문을 던지며 생각을 넓혀보기 위해 시작됐다.지난 11화 동안 숫자와 기호에서 출발해 수학의 여러 분야와 대상, 증명으로 주제를 확장시켰다. 마지막화에서는 우리가 1년여간 이어온 논의의 종착점으로 ‘수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DNA의 이중나선 구조 발견’은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과학 업적을 뽑을 때 빠지지 않는다. DNA의 구조는 생물학자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업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둘만큼 자주 언급되는 사람이 물리화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다. 그는 어떤 사람이었을까.의혹1. 유일한 업적은 ‘51번 ... ...
- 몸과 머리의 비율이 중요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캐릭터의 얼굴을 그린 다음에는 몸을 그릴 차례! 만화 요정 투니가 말했어요.“캐릭터를 그릴 땐 몸의 비율★을 잘 생각해야 하지.” 만화가들이 캐릭터를 그릴 때 사용하는 ‘비율’은 머리와 몸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해. 예를 들어 머리의 크기를 1이라고 했을 때, 몸의 크기도 머리와 ... ...
- 미술관에 떠오른 태양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편집자주. 예술의 언어로 세상을 재창조하는 작가들은 오늘도 호기심 많은 눈으로 과학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들의 손에서 재탄생해 미술관 속에 들어앉은 과학을 연재를 통해 소개합니다.)덴마크의 예술가 올라퍼 엘리아슨이 2003년 영국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 설치한 작품 ‘The weather project(날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서로 다른 물질이 만나는 경계이자, 만나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최전선. 바로 표면이다. 산업계에서는 물질의 가장 중요한 부위라고 할 수 있는 표면을 보호하거나 활용하기 위해 표면에 금속을 씌운다. ‘도금’이라고도 부르는 금속 표면처리 공정이다. 2023년 11월 21일, 표면처리의 세계를 더 깊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오랜 대학원 생활을 마치고 드디어 졸업한 삼엽충 연구자 김공룡 박사! 운 좋게 고생대학교의 신임 교수로 임용돼 드디어 자신만의 연구를 시작한다. 그러나 연구 환경을 꾸리기 위해서는 필요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화석을 찾기 위한 탐사 장비, 분석 장비, 학술 서적은 물론이고 인건비까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