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달"(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원인으로 만들어져서 우주를 떠돌고 있어요.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아 지구에 도달해서도 아무 반응 없이 0.04초만에 관통해 버려요. 심지어 1초에 100조 개의 중성미자가 인간의 몸을 통과할 정도죠. 있는 듯 없는 듯 하다며 ‘우주의 유령’으로 불려요. 그런데 남극 얼음에서 ... ...
- [4컷 만화] 절개 없이도 쥐의 머릿속을 뚜렷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산란’을 보정해 이 단점을 해결했어요. 쥐의 머리에 빛을 비추면 빛이 신경망까지 도달하기 전에 두개골에 부딪혀 빛이 여러 방향으로 퍼지는 산란이 일어나요. 산란된 빛은 신경망에서 반사된 신호와 섞여 흐릿한 이미지가 돼 버립니다. 연구팀은 ‘다른 조직에 부딪혀 산란된 빛’과 ... ...
- [가상 인터뷰] 보이저 1호, 다시 정상 작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79년에 목성을 탐사하고, 1980년에 토성을 탐사한 뒤, 2012년에 태양계의 경계인 성간우주에 도달했습니다. 이후 태양계 밖으로 나가 지금도 1시간에 5만 5000km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어요. 인간이 만든 물체 중 가장 먼 거리를 여행 중이에요.그런데 지난 5월부터 보이저 1호는 지구 쪽으로 안테나의 ... ...
- [4컷 만화] 거품으로 지구를 시원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연구원팀은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거품을 만들 계획을 발표했어요. 이 거품은 지구에 도달하는 햇빛을 막아서 지구의 온도를 떨어뜨려요. 지름이 20mm인 실리콘 소재의 거품을 모아 만든 커다란 원 형태의 판이 판으로 오는 태양 빛의 1.8%를 반사합니다. 연구팀은 이 거품들을 우주에 띄울 장소를 ... ...
- [우주 기네스]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간우주탐사선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23,500,000,000km 나 떨어진 먼 우주를 날고 있어요. 인류가 보낸 탐사선 중가장 먼 곳까지 도달한 거예요.두 탐사선은 그동안 열심히 우주를 날며, 우주의 수수 께끼를 풀 정보를 인류에게 제공했어요. 하지만 머지않아 보이저 1호와 2호는 그 임무를 마치고 은퇴해요. 배터리 수명이 거의 다되어서 지구와 ... ...
- [과학 뉴스]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못했어요. 이번에는 누리호가 지구 표면으로부터 약 700km 높이에 있는 ‘지구 저궤도’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답니다.항우연은 누리호로부터 비행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달받아 누리호의 위성 투입 성능을 검증하는 성능검증위성이 지구 저궤도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된 걸 확인했어요. 다음 날 이 ... ...
- 진실 혹은 거짓, 멘델은 완두콩으로 무슨 일을 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로널드 피셔다. 그는 멘델의 실험을 통계학적으로 조사한 후 멘델이 구한 숫자에 도달할 확률은 3만 분의 1에 불과하다고 결론 내렸다. 1936년 피셔의 의견이 한 잡지에 실린 이후 멘델의 데이터 조작은 유전학자와 통계학자들 사이에서 잊을 만하면 끊임없이 나오는 논쟁 주제로 떠올랐다. 심지어 ...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현재 우리는 2030년까지 온실 기체 배출을 반으로 줄여야 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에 도달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도 자신의 생활 방식을 문제 삼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다.사람들은 강과 호수, 지하수에서 끌어오는 물의 70%를 농작물을 위해 사용한다. 합성 비료는 음식물 쓰레기와 배설물 ... ...
- [기획] 바닷속 소리터널 지구 온난화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근처의 수심 약 2000m에 로봇을 내리고, 해저 지진 때문에 발생한 소리 진동이 로봇까지 도달한 시간을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측정했지요. 그 결과 바닷물의 온도가 10년 동안 0.044℃ 상승한 것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지상에 있는 지진계보다 지진 발생 소리를 더 깨끗하게 포착할 수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해서 무너지지 않고 잘 버티는 걸까요? 바로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평형상태에 도달했기 때문이에요. 무게 중심은 물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전체 무게가 한 곳에 작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지점이에요. 예를 들어 펜을 가로로 눕힌 후 가운데 즈음을 검지 손가락 위에 올려놓을 때 펜이 흔들리거나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