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도덕
d라이브러리
"
도덕과학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진화생물학 받아들이는 성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현대과학의 발전에는 서양의 기독교사상이 바탕에 깔려있다. 하지만 바로 이 때문에 현대과학은 여러 문제점을 초래했다. 최근 새로운 대안으로 동양종교가 주목받고 있다. 동양종교와 현대과학은 과연 어떤 만남을 준비하고 있을까. 현대과학이 오늘날과 같은 규모와 영향력을 갖게 된 배경에는 ... ...
SF영화, 그리고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지난 4월 SF영화의 고전 ET(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1982)가 제작 20주년을 맞아 재개봉됐다. 못생긴 얼굴과 기괴한 생김새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어린이들의 친구로 꾸준한 인기를 얻었던 ET. ET는 인간에게 위협적이고 부정적인 존재로 인식됐던 외계인을 지구인의 친구로, 그것도 어린이의 친구로 받아 ... ...
위대한 과학자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0세기 최고의 과학자로 불리는 아인슈타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그의 첫번째 아내였던 밀레바 마리치와의 비밀스런 일화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신격화된 과학자’아인슈타인.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또다른 모습을 살펴보자 17세기에 독일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라이프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근 외국에서 인간복제 연구가 진행돼 충격을 주고 있다. 그들은 불임부부와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나름대로의 정당성을 부각시키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인간복제가 갖고 있는 문제들 때문에 설득력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다. 불임부부는 자식을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최근 미국에서는 우편물로 백색가루가 도착하면 두려움에 떤다. 생화학 무기인 탄저균이 포함돼 있지 않을까라는 의심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소동이 몇차례나 발생했다. 세계무역센터가 무너지는 대참사 이후 새로운 테러 도구로 인식되고 있는 생화학 무기를 파헤쳐보자.미국을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야구를 생각보다 정적인 운동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야구장에서 커다란 움직임이 멈춘 그때에도 은밀한 몸놀림과 불꽃튀는 두뇌활동이 일어난다. 이를 매개하는 것이 바로 사인이다. 제2의 언어 사인을 만나보자.야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은 흔히 야구를 ‘느려터진’ 경기 ...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날개를 만들어 하늘을 난 다이달로스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우주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발상의 전환. 미궁에 갇혀 땅으로 탈출은 불가능한 그에게 유일한 희망은 하늘을 나는 것이었다. 새의 깃털과 밀랍으로 만든 날개로 나는데 성공하지만, 그의 아들 이카로스는 죽음을 맞이한다.땅에서의 ... ...
4. 육체와 잘못 짝지어진 성 소년은 울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나의 장미빛 인생’에 등장하는 루도빅의 깜찍한 모습에서‘소년은 울지 않는다’에 나오는 브렌든의 비극까지 영화 속에는 자신의 성정체성을 찾는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트렌스젠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영화들을 감상해보자.1993년 12월 30일 미 중서부 네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장 딱딱하고 재미없게 보이는 책을 꼽으라면? 아마 학생들은 ‘교과서’를 뽑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올해 중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은 좀 다르게 생각할 듯하다. 교과서가 모습을 싹 바꿨기 때문이다. 어떻게 달라졌을까.우선 외형을 살펴보았다.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크기의 변화. 16.9×23.7cm에 ... ...
리프킨의 엔트로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열역학의 기본 법칙에는 크게 제0, 제1, 제2법칙이 있다. 이 중 ‘엔트로피 법칙’이라 불리는 열역학 제2법칙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독일의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는 “열은 스스로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이동할 수 없다”고 표현했으며, 영국의 물리학자 켈빈은 “역학적 일은 전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