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 전쟁을 지지한 평화주의자 ● 1940년 영국. “러셀 교수님, 어떻게 그런 말씀을 하실 수 있습니까?”“제1차 세계대전 때 평화를 위해 투쟁하자고 함께 약속하지 않았습니까?” 아돌프 히틀러를 권좌에 앉힌 독일은 *파시즘과 반유대주의를 전면으로 내세우며 경악스러운 행보를 보였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우리 집 앞 철쭉은 언제 폈을까요? 학교 가는 길에 본 개미, 어디로 가던 중일까요? 한반도 생태계를 관찰하고 탐사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벌써 11년째를 맞았어요. 올해도 탐사대원의 활동으로 소중한 생태계 기록이 차곡차곡 쌓일 거예요. 대원들과 연구자들, 어과동 기자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학교에서는 미적분을 가르칠 때 미분부터 알려주지만, 수학의 역사에서는 적분이 먼저 관심을 받았다. 고대부터 땅의 넓이를 구하려는 노력이 적분의 시초다. 그렇다면 적분의 아이디어는 어떤 과정을 거쳐 수학적 개념으로 발전했을까? 그리고 서로 다른 시기에 시작된 미분과 적분을 어떻게 미 ... ...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편집자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불립니다.매년듣기만해도웃음이터져나오는연구약10개에수여되고있죠.하지만웃음 너머로 과학의 본성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연구들을 조명하는 상이기도 합니 ... ...
- [어수티콘 사전] 공약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숫자 6과 8이 축구를 하고 있어요. 숫자 6 옆에는 3이 있는 걸 보니, 둘은 같은 팀인가 봐요. 숫자 4와 8이 한 팀이고요. 그런데, 6과 8이 함께 찬 공에 붙어 날아가고 있는 1과 2는 각각 누구의 팀일까요? ‘공약수’라는 말이 힌트인 것 같아요! [수달에게 묻는다!] 공통의 약수를 찾아라! 어수동 : ... ...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똑똑해서 유명했던 아이가 자라 성공을 했고, 심지어 행복하다고 말한다.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똑똑한 아이가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타고난 재능이 아닌 노력에 박수를 보내주세요” Q. 교수님은 초등학생 때 고등학교 수업을 들었을 만큼 나이보다 앞선 교육을 받았습니다. ... ...
- [수학체험 유랑단] 친구야! 꼬인 매듭을 풀어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전국 방방곡곡 특별한 수학 체험 수업을 찾아다니는 기자가 거제도에 떴습니다! 이번엔 둘이서 하는 숫자 카드 게임, 꼬인 매듭을 푸는 흥미진진한 게임을 즐기고, 새로운 수학 게임을 만드는 수업에 참여했어요. 조현준 수월중학교 교사가 둘이서 하는 수학 체험을 준비한 특별한 이유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레이저 장비는 촬영하지 않는 걸 추천합니다. 카메라 내부가 타버리거든요. 지난번에 저희도 멋진 사진을 찍어 보려고 비싼 카메라를 들고 왔다가 망가뜨린 전적이 있습니다. 허허.” 따가운 가을볕이 내리쬐던 지난 8월 31일, 방진복으로 갈아입던 기자와 사진작가에게 성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자동차라는 운송수단이 생긴 이래로, 자율주행은 인간이 항상 꿈꿔온 궁극적인 기술이었습니다.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는 내 차로 원하는 곳에 안전하게 간다는 상상은 그만큼 매력적이었죠. 최근엔 이런 자율주행을 도로 위에서 실현하는 것을 넘어 공중으로도 확장하려 하고 있습니다. 일명 ‘ ...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와, 크다.’ 8월 8일 찾아간 수도권 미래폐자원거점수거센터(이하 수거센터)의 첫 인상은 배터리들이 모여 사는 거대한 아파트 같았습니다. 사람 키만한 배터리 998개가 하나씩 들어갈 수 있는 보관셀이 위아래, 양옆으로 쭉 펼쳐져 있었습니다. 수거센터에서 만난 김형준 한국환경공단 수도권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