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의실험"(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쓰나미 피해 키우는 건물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교수는 50분의 1로 규모를 줄인 도시 모형을 만든 뒤 20cm 높이의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모의실험을 했다. 이는 실제로는 자연에서 200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하는 쓰나미 규모다. 그런 뒤 건물 형태와 배치에 따른 유속 변화를 측정해 그 결과를 지난해 12월 3일 미국지구물리협회 연례총회에서 발표했다 ... ...
- 수학을 사랑한 과학동아리 회장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수학에 마음이 빼앗기다 “제가 수학을 좋아하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어요.” 지금은 수학이 좋아서 응용수학과에 다니고 있고, 대학 졸업 후에도 취업보다는 대학원에 진학해 수학 공부를 더 하고 싶다는 재원 양이지만 처음부터 수학을 좋아한 것은 아니었다. 분명 문과, 이과 학생이 공통적으로 ...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뒤는 없다, 216초와 137초의 아픔을 잊어라.’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가 모든 채비를 마쳤다. 10월 26일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에서 세 번째 도전에 나선다. 2009년 8월 25일 첫 시도에선 발사 216초 후 페어링(위성 보호덮개) 비정상 분리로 위성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수 있으니까요.연구원들은 이러한 발전기를 실제 바다 위에 설치하기 전, 파도를 재현해 모의실험을 진행합니다. 바다에서는 항상 예기치 못한 상황이 생길 수 있거든요. 그래서 직접 만든 인공 파도 수조는 실제 바다 상황과 같이 바람, 해수, 물의 농도 등의 여러 외부 환경을 고려해서 만든답니다 ... ...
- GIST 정자호 입학사정관 인터뷰 - “중요한 것은 ‘What’이 아니라 ‘How’”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작년 입학전형 결과2012학년도 전체 신입생 중 일반고와 특목고 출신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가요?2012학년도 입학전형 결과, 과학고 학생 57명과 일반고 학생 42명이 입학했습니다. 지난 3년간 입학생 현황을 보면 과학고 161명(54%), 일반고 123명(41%), 외국어고 8명(3%)의 분포를 나타냅니다. 일반고 출신 신 ... ...
- 과학영재·글로벌 리더 ‘더’ 뽑는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2013학년도 UNIST 수시전형은 무엇이 달라지나요. 작년까지 정원내 모집이었던 기회균등 전형이 정원외 모집으로 바뀌면서 전체 모집 인원이 750명에서 775명으로 늘었습니다. 기회균등전형은 전년도에는 기초수급권자 대상 및 차상위계층 대상자, 국가유공자 손·자녀가 대상이었지만 정원외 모집이 ... ...
-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수학능력시험에서 과학탐구의 위력2012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과목 I, II 전체 8개 과목에서 최대 세 과목을 선택할 수 있었다. 2014학년도 수능(현재 고2)부터는 두 과목으로 축소된다. 이렇게 과학과목이 축소되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은 과학탐구영역(이 ...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입춘 추위가 떠나고 모처럼 낮에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간 2월 중순 관악산 중턱에 있는 서울대 공대를 찾았다. 최근 딱정벌레 날개의 결합원리를 이용해 ‘찍’ 소리 안 나는 찍찍이를 개발한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를 만나기 위해서다. 건물 12층에 자리잡아 창 너머로 관악산 자락이 시원하 ...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서울대는 뭔가 운명이었던 것 같아요.”서울대가 목표도 아니고 운명이라고? 무슨 말인가 들어 보니 사연이 많다. 일단 내신 성적이 그렇다. 사실 1학년 때는 내신 평균이 1.1등급으로 높은 편이었다. 그런데 2학년 때는 1.6등급으로 낮아진 것이다.“사실 저는 1학년 때 정말 열심히 공부를 했어요. ...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점점 축소되는 자연계 경시대회 2012년부터 서울시교육청 주관 수학·과학 경시대회가 모두 폐지된다. 바로 사교육 때문이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경시대회 수상경력의 중요성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자 중학생은 물론이고 초등학생까지도 경시대회를 대비한 사교육에 뛰어들었다. 이에 교육청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