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아래로 접는다... 2ROUND 폴더블폰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인폴딩 방식은 디스플레이의 곡률(화면을 접기 위해 남겨 놓는 원형의 공간) 반경이 작아 바깥쪽으로 접는 아웃폴딩 방식보다 구현하기가 어렵다. 대신 디스플레이가 안쪽에 가려져 있어 내구성이나 안정성은 더 뛰어나다. 미국 모토로라 레이저(RAZR)도 인폴딩 방식의 상하로 접는 클램셸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 경우 가장 바깥쪽 창문의 안팎에 모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면 안쪽 창문에서 반사돼 바깥쪽 창문에 도달하는 태양광도 발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효율이 최대 1.7배로 대폭 증가한다. 창문에 설치한 태양전지판이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투명하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정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술술읽혀요 | 새 책 ● 과학자에게 이의를 제기합니다 도다야마 가즈히사 지음 | 전화윤 옮김플루토 | 284쪽 | 1만6500원 2세기 경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지구를 중심으로 달, 수성, 금성, 태양 등 태양계가 회전하고, 바깥으로는 항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긱블은 2017년부터 쓸모없고 이상하지만, 그럴싸하고 재밌는 기계들을 수없이 만들었습니다. 과학동아와 긱블이 함께 하는 첫 번째 기사에서는 그중 자타공인 ‘레전드’ 작품으로 꼽는 ‘치킨 발사기’의 뒷얘기를 낱낱이 파헤쳐볼까 합니다. ‘왜 때문에’ 치킨 발사기를 만든 건지 궁금하면 따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들어진 직사각형이 있어요. 안쪽 직사각형들의 넓이를 더한 것을 ‘리만 하한’ 바깥쪽 직사각형들의 넓이를 더한 것을 ‘리만 상한’이라고 부릅니다. 그림①을 보면 리만 상한이 리만 하한보다 크고 실제 정확한 넓이는 그 사이에 있겠죠? 직사각형의 밑변이 0에 가까울수록 두 값이 원래 넓이에 ... ...
- [실전!반려동물] 뽀삐야 점프는 조심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충격에도 홈 밖으로 벗어나는 거예요. 슬개골이 정상적인 자리에서 벗어나 몸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빠지는 질병을 ‘슬개골 탈구’라 해요. 말티즈, 치와와, 푸들 등 소형견은 대형견보다 10배 이상 슬개골 탈구가 잘 일어나지요. 선천적으로 슬개골 탈구가 잘 일어나는 종은 평소에 조심해야 해요. ... ...
- 해먹 달기 대작전! 사육곰에게 놀이를 선물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9월 28일,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팀과 함께 강원도 동해시의 한 농장을 찾았어요. 농장의 곰들에게 깜짝 선물을 주기 위해서였지요.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오자 철장에 양손을 대고 궁금한 듯 쳐다보는 두 곰. 과연 곰들은 준비한 선물을 맘에 들어 했을까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먹지 말고 양보하세요, 즐거운 달걀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때문에 병 안은 공기 분자의 밀도가 낮은 상태지요. 결국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병 바깥쪽 공기가 안쪽으로 들어가려 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가 병 입구를 막고 있는 달걀을 눌러 달걀이 병 안으로 들어가게 된답니다. 중세 사람들은 달걀 밑을 깬 콜럼버스의 방법을 천재적이라고 칭송했지만,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는 물질은 어마어마한 열에너지에 의해 기화된 다음 급격히 팽창하고, 팽창된 가스는 바깥쪽을 향해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여서 거대한 폭풍을 일으킨다.핵폭탄의 위력은 대부분 이 핵폭풍에서 나온다. 아이스맨이 핵폭탄을 막았다면 폭발 직전에 얼려버리는 게 아니라 폭발을 시작한 핵폭풍을 ...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뫼비우스의 띠’는 종이 띠의 한쪽 끝을 180° 돌린 뒤 다른 한쪽과 이어붙인 도형입니다.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독특한 도형으로, 이 재밌는 수학적 성질은 위상수학과 기하학에 도움을 줬을 뿐 아니라 예술가에게는 영감을 제공했습니다. 이런 뫼비우스의 띠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독일의 수학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