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개
천둥소리
우뢰소리
뇌성소리
뇌성
천둥
문빗장
d라이브러리
"
벼락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처음에는 공포를 느꼈으나 차츰 두려움을 무릅쓰고 불 가까이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벼락
맞은 나무에 불이 붙는다든지 화산을 자주 볼 수 있는 지역에서는 그런 방법으로 접근이 가능했을 것이다. 특히 조로아스터교의 발상지는 유전지대였으므로 천연가스의 불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개구리 사이에 아무런 연락도 없었는데 경련이 일어난 사실에 놀란 갈바니는 공중전기(
벼락
)에 의해 경련이 생겼다고 생각하고, 개구리의 척수에 놋쇠로 만든 코바늘을 꽂고 발코니의 난간에 매달아 보았다. 여기서 또 새로운 발견이 있었다. 놋쇠의 코바늘을 난간에 눌러붙이면서 개구리 다리를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엿보았다. 사람과 개가 멀어진 것을 감지한 오소리는 눈을 살짝 떠보더니 '이때다'하고
벼락
같이 일어나서 36계를 놓았다.필자도 동물원에서 숨도 제대로 쉬지 않는 오소리 때문에 당황한 적이 많았다. 이러한 행동은 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는 의식적인 행동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거의 본능적으로 ... ...
잘못된 경종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보고가 있었다. 이것은 사실일 가능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산소가 30퍼센트라면
벼락
으로 시작된 산불도 대륙을 휩쓸 것이다. 확실히 더 조사한 결과, 이 보고가 틀렸다는 것이 드러났다.또 하나의 경우가 있다. 대마젤란성운 속의 1987년의 대초신성은 초당 2천배의 속도로 회전한 중성자성을 ... ...
「특허의 상품화」 장애물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고 강조했다.발명계의 신화가 되다시피한 목동 조셉의 가시철망처럼 한번의 아이디어로
벼락
부자가 되는 경우는 요즘은 불가능하다는 얘기. 또한 하나의 발명품을 개발하면 이와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계속해야 완벽한 제품이 탄생된다는 의미다.박인호씨의 경우 '수목 중에서 가장 불행한 ... ...
청소년·부모 모두 알아두자 자살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차단되거나 와해된 경우에 시도한다. 예를 들면 파산을 한다든지 반대로 가난뱅이가
벼락
부자가 된 경우에 있는 자살을 말한다.뒤르껭은 결국 자살의 주원인이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집단에서 그를 따듯이 받아들여주지 않기 때문임을 시사했다. 그리고 그는 개인이 사회집단과의 결속이 끊겨서 ... ...
우주의 사연을 담은 편지 운석(隕石)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우주진(塵)운석이 낙하할 때의 상황은 여러가지로 표현되고 있다. 공통된 점으로서는
벼락
이 떨어질때 또는 대포을 쏘았을 때와 같은 폭음이 난다는 것이다. 때로는 번개나 태양보다 밝은 빛을 내면서 낙하한다. 낙하하는 운석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도 발(發)하는 소리나 빛의 규모가 다르다. 어떤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정리해 보자. 우선 들 수 있는 것이 자연현상에 의한 전자파이다. 그 원인으로
벼락
, 태풍, 화산의 분출에 수반되는 방전현상, 전파성, 태양 등의 전자파 방사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심각한 것이 인공적인 전자파. 첫째, 계측용 전자기기와 퍼스널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정보처리기기를 들 수 ... ...
번개의 신화에서 전자공학 혁명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손에 들고 날개 달린 괴물이 이끄는 마차에 타고 있는 그림이 새겨져 있다. 이 손창이
벼락
을 치는 용구였다. 문명발상지의 하나인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이집트에 비해서 번개를 동반한 비가 훨씬 많았음인지 기원전 2000년 무렵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듯한 원통인장에는 신화의 영웅앞에 두 ... ...
아직도 정확히 알려지지 않는 하늘의 전기현상 규명위해 인공 번개를 만들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습기가 많아 번개ㆍ
벼락
이 다른 지역보다 흔하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날씨경보체계로는
벼락
을 치기직전에 알아 내는등 실용적인면에서 거의 가치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대기중에서 번개가 발생할것같다는 경보를 할때에는 양전기나 음전기의 전하가 1m당 1천볼트정도가 돼야 한다. 보통 맑은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