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급"(으)로 총 1,371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도착하면 ISS에 달려 있는 로봇팔이 공중에서 이를 잡은 뒤 안전하게 ISS에 도킹시킨다. 이 보급선 안에는 과학 실험에 필요한 여러 장비들과 ISS에서 지구 궤도에 직접 띄울 소형 위성들이 들어 있었다. 일상 2 태양 대신 전구로 생체리듬을 조절하라! ISS에서는 하루에 16번씩 해가 뜬다. 이때문에 ...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먼저 국가적·국제적 노력을 알아보자. 화석연료 사용량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제도를 마련할 수 있다.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의 경우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만큼 국제 환경 협약을 체결해 국제적 차원의 연대를 시행해야 하며, 에너지 빈곤 지역의 에너지 ...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갑상선암 등 각종 암 수술에 로봇이 사용될 만큼 널리 보급됐다. 가장 유명한 수술용 로봇은 ‘다빈치’다. 하지만 다빈치 로봇과 같은 수술용 로봇을 척추 수술에 투입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척추가 로봇 수술을 진행하기 어려운 부위라는 ...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앞으로 더 늘어날 예정이다. 한 예로 서울시는 2022년까지 100만 가구에 ‘미니 발전소’를 보급해 총 551메가와트(MW)의 전력을 생산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는 4인 가족 기준으로 매년 16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그러기 위해 서울시는 연면적(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이 10m² 이상인 ...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측정할 수 있는 인증표준물질을 2006년 개발하고, 국내 산업계에 LED 표준을 빠르게 보급했다. 또한 2008년부터 3년 동안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LED의 광원 특성 측정에 대한 국제 비교를 주관했다. 이는 한국의 측정 기술이 여러 나라 표준기관의 측정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게 평가받는다는 ...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이폰 시리즈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화면 크기다. XS는 5.8인치, XS맥스는 6.5인치다. 보급형인 XR도 6.1인치다. XS맥스(6.5인치)는 지금까지 나온 아이폰 가운데 화면이 가장 크다. 최근 출시된 삼성의 ‘갤럭시노트9’도 6.4인치로 XS맥스와 비슷하다. 스마트폰 화면이 커지고 있다. LG의 ‘V40 ThinQ’, ...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10 % 포함하는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BIPM은 IPM의 복제품을 여러 개 만들어 세계 각 나라에 보급했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된 복제품(No. 10c)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사용되다가 현재는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보관 중이다. 물리적 원리로 길이를 정의하다측정과학이 발전하면서 미터원기 역시 ... ...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비교 검정할 때 사용하기도 했다. 비슷한 시기 양기는 동으로 섬과 말을 만들어 지방에 보급했는데, 변형을 할 수 없도록 입구는 좁고, 밑면은 넓은 ‘방추형 양기’를 만들기도 했다. ● 최영준 기자의 순전히 과학적인 영화평 - 왕의 남자 사극 최초의 1000만 영화인 ‘왕의 남자’는 개봉한 지 1 ... ...
-
- [Tech] ‘선 없는 세상’ 의 마지막 퍼즐 무선 이어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2.4GHz가 비면허 대역이다 보니 너도나도 사용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스마트폰과 와이파이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번화가에서는 와이파이 신호 수십 개가 겹친다. 이 전문위원은 “주파수가 서로 겹치면 충돌을 막기 위해 신호 전달이 지연된다”며 “겹치는 전파가 많아져 간섭이 계속되면 지연이 ...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시간과 관련된 업무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시계는 조선시대 세종 때 본격적으로 보급됐다. 오목한 형태의 ‘앙부일구’가 가장 널리 쓰였고 그밖에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규표’ 등의 해시계도 제작됐다. 흐린 날이나 밤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자격루’ ‘옥루’와 같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