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생각할까 봐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우려와 달리 팬케이크 문제는 수학자
사이
에서 난제로 유명해지면서 여러 파생 연구를 낳았다. 문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팬케이크가 3장 있을 때를 살펴보자. 크기가 다른 3장의 팬케이크가 쌓여 있는 경우의 수는 아래 그림처럼가지다. 각각 몇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도움되지 않을 수 있어요. 하지만 만약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두 이론이나 대상
사이
의 관계를 통찰해야 한다면 과거 수학자가 어떤 발상의 전환으로 새로운 접근법을 발견했는지 살펴보며 교훈을 얻을 수 있지요. 비단 수학자뿐 아니라 수학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수학사는 좋은 생각의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공주님을 계속 불렀는데…” ●시냅스: 신경세포끼리, 또는 신경세포와 다른 세포
사이
의 접합 부위. 화학적, 전기적 전달 물질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 ...
생성 AI 왜 강력할까? 핵심은 트랜스포머 모델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Is AII You Need’ 논문의 ‘트랜스포머 모델’이다. 트랜스포머 모델은 입력된 값들
사이
의 연관성을 스스로 학습하는 ‘셀프 어텐션’ 기법으로 학습 효율을 크게 개선시켰다. 트랜스포머 모델의 구조를 구조를 샅샅이 들여봤다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가격은 2022년까지만 해도 약 4700만 원이었으나 2023년 4월엔 6000만 원까지 올랐다. 몇 개월
사이
에 1300만 원 가량 오른 것이다. 새로운 GPT-5를 훈련하기 위해 H100 3만~5만 개가 필요하다고 추정한 일론 머스크의 계산에 따르면, 생성 AI를 만드는 데 GPU 비용만 약 1조 8000억 원에서 3조 원까지 든다. 빅테크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도금에 사용되는 ‘6가 크롬(Cr VI)’이다. 크롬 원자는 자연 환경에서 전하량이 -4에서 +6
사이
인 이온 및 금속 상태로 존재한다. 도금 과정에는 이중 6개의 최외각전자를 잃어 전하량이 +6인 6가 크롬이 쓰인다. 문제는 6가 크롬과 그 화합물이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Group 1)’이라는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일어나면 즉각적으로 10억 광년 바깥에 있는 다른 입자에서도 그 변화가 나타난다. 이들
사이
의 공간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한 근원에서 태어난 한 쌍의 입자는 서로가 우주 양끝에 있어도 한쪽이 변화하면 다른 쪽에 즉각 영향을 미친다.교수는 ‘마더’가 과거와 미래의 인물들을 연결 짓는 데에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불규칙하게 나타나 연구하는 것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수학자들은 소수들
사이
의 간격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2013년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 이탕 장은 소수 간격이 7000만 이하인 소수쌍이 무한히 많음을 증명해 권위 있는 수학 학술지인 에 실었다. 이후 1년간 연구의 속도가 ... ...
포장의 달인 소시지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4차원의 경계는 얼마일까? 그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4차원에서는 5만 개와 10만 개
사이
어딘가에 소시지 모양과 벌집 모양의 경계가 있다는 사실만 알 뿐이다. 5차원부터는 그 내용이 조금 다르다. 만약 페예시 토트의 소시지 추측이 사실이라면 5차원 이상일 때는 차원마다 소시지 모양과 벌집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였다. 치킨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니 상관계수가 0.78로 관련이 깊었다. -1에서 1
사이
의 값을 갖는 상관계수는 절댓값이 0.4 이상이고 1이나 -1에 가까울수록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 반면 0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적다. 그런데 SNS 치킨 언급량은 날씨와 주식시장 시가총액과도 관련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