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산
혼란
이산
유포
산
해산
파산
d라이브러리
"
산란
"(으)로 총 6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발표했어요.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대기 입자에 더 많이 부딪히고, 그만큼 더 많이
산란
되어 하늘을 밝게 만든다는 거예요. 그런데 최근 많은 나라에서 가로등과 조명을 LED로 교체하고 있어요. LED 조명은 에너지 효율이 높고 오랜 기간 쓸 수 있거든요. 그래서 조명 연구자들은 LED 조명을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다닐 수 있게 됐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어요. 조명 빛이 대기 중의 입자들에 의해
산란
되면서 밤하늘이 밝아진 거예요.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천체를 관측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졌어요. 이뿐만 아니라 자동차 헤드라이트처럼 강렬한 빛이 갑자기 눈에 들어오는 눈부심 현상도 발생했어요. 또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지구에서보다 개기일식을 관측하는 시간이 훨씬 길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는 대기의
산란
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관측 정확도도 높지요. 한편,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우주항행학과 시모네 다미코 교수는 오리가미 방식의 접는 우주선으로 인공 일식을 계획하고 있어요. 관찰대상은 태양계 밖에 ... ...
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주로 밤나무나 참나무 같은 활엽수의 수액을 먹고 살지요. 이처럼 하늘소의 먹이나
산란
장소, 유충의 보금자리가 되는 나무를 ‘기주식물’이라고 한답니다. 사람들은 나무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하늘소를 해충으로 오해하기도 해요. 하지만 모든 하늘소가 그런 건 아니에요. 특히 이번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파고 알을 낳은 뒤, 그 주변에 5~8cm의
산란
탑을 쌓는 습성이 있어요. 최성국 연구원은 “
산란
탑을 쌓는 습성이 있는 민물고기는 어름치를 포함해 전세계에서 9종밖에 없다”고 덧붙였답니다. 중앙내수면연구소에는 보물이 가득!교육을 마친 지사탐 대원들은 연구소에 마련된 민물고기 전시관으로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준비를 한다. 이 때 개미들은 단백질성 먹이를 주로 섭취한다. 단백질을 이용해 서둘러
산란
을 해서 새로운 세대가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게 준비시키고, 남은 단백질은 체내에서 당으로 변환한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삼아 12월부터 본격 겨울잠에 들어가 이듬해 3월 이후에 활동을 재개한다.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것이다. 문제는 생체 분자를 둘러싼 용액이 얼면서 생긴 얼음 결정이 전자빔을
산란
시킨다는 것이었다. 뒤보셰 교수는 물을 얼릴 때 나타나는 결정의 종류가 다르다는 데 주목했다. 물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일반 얼음 결정과 달리 매우 낮은 온도로 빠르게 냉각시킬 때 생기는 얼음은 결정이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탄도를 계산하거나 유도 장치를 달 필요가 없다. 또 일정 거리 이상 나아가면 공기 중에
산란
되기 때문에 목표물을 타격하지 못해도 추가적인 피해가 없다. 레이저 무기+항공기=무적레이저 무기로 슈퍼맨의 히트 비전을 따라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현재 개발됐거나 개발 중인 레이저 무기에서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땅속은 각종 암석으로 이뤄져 있다. 암석은 완전한 탄성체가 아니고 불균질해 지진파를
산란
시키고 이 때문에 지진파의 진폭이 작아지는 감쇠 현상이 생긴다. 이것도 지진 규모를 저마다 다르게 계산하게 만드는 변수 중 하나다. 이유2 : 각종 지진 규모 계산법 보정하는 보정값 문제 학계에서는 ... ...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대기와 반응하면서 나타난다. 반면 약한 오로라는 자기장에 의해 갇힌 전자들이
산란
을 일으키면서 나타난다. 목성의 오로라도 전자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해 왔다. 베리 마우크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목성탐사선 ‘주노’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