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린네르
섬유
d라이브러리
"
아마천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1백여기의 석불과 30여기의 석탑이 천년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 민중의 한과 저항을 고스란히 담아냈다는 이 사찰에 하늘의 질서를 구현한 칠성바위와 와불이 있다. 최근 탑 배치가 일등성의 배치와 일치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천녀의 신비가 풀리는 듯했다. 그러나 그 주장의 이면에는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① 열번째 행성은 없는가? - 1백50년 탐색 의외의 수확들1841년 존 아담스는 천왕성의 궤도운동을 조사하던 중 상당한 양의 궤도오차가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아담스는 그의 계산을 그리니치 천문대에 제출했으나 나이가 너무 어리고 무명의 천문학자였기 때문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1845년 프랑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피카소의 그림에는 4차원의 시공간을 주창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들어있다. 몬드리앙과 칸딘스키는 사물을 점, 선, 면으로 단순화하고 순수한 조형세계를 구축했다. 이제 그림은 무엇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게 되면서 추상미술은 그림을 돼지저금통과 똑같은 하나의 물건으로 취급했다.15세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자연은 종종 관찰과 경험의 눈으로 볼 때 위대한 힘을 인간에게 더해준다. 어부들은 오랫동안의 경험으로 조석시간과 높이는 물론, 풍랑과 고기떼의 이동까지도 파악한다. 모세나 제갈공명 또한 남다른 관찰력으로 바다가 열리고 동남풍이 부는 시점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모세가 바다 위로 손을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미래 사회를 그리려는 미술가들은 박막의 존재부터 파악해야 한다. 박막 덕분에 볼펜 크기의 휴대폰, 암세포를 죽이는 마이크로 머신이 현실로 다가오기 때문이다.“국내 기업에 의해 세계 최초로 256메가 디램(Mb DRAM)이 생산되기 시작했다”는 소식을 신문이나 TV에서 본 적 있다. 여기서 말하는 25 ... ...
③ 싹트는 인터넷방송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커피 한잔을 놓고 전세계 2천여개의 인터넷방송을 여행하는 것이말로 네티즌만의 즐거움이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뉴욕의 재즈음악방송과 러시아 대중음악방송을 듣는 것, 내 친구가 만들고 출연하는 방송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인터넷방송의 매력이다. 앞으로 인터넷방송을 모르면 ‘왕따’가 될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우주에서 탐험하려는 목적지가 멀수록 연료와 식량을 재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필요해진다. 잠시 스쳐 지나가는 우주정거장이 개발되는 것은 물론 도시 자체를 움직여 우주를 방랑하는 시대가 펼쳐질지 모른다. 인류가 우주로 눈을 돌리면서 필연적으로 등장한 개념이 우주식민지이다. 지구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아마추어천문가 이태형씨가 한국인 최초로 소행성을 발견했다. '1998SG5'로 임시 이름이 붙은 이 소행성은 신천체 발견의 전례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아마추어천문가의 쾌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천문실험실' 필자인 아마추어천문가 김동훈씨는 "이번 소행성 발견으로 우리나라 아마추어 천문 관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몇년만에 다시 입어보는 우주복인가. 10월 29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탑승할 예정인 글렌은 새롭게 지급된 우주복을 만져보면서 출산을 몇일 앞둔 산모처럼 설레는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36년 전 그가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지구궤도를 돌고 돌아왔을 때 4백만명의 인파가 뉴욕 거리를 메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밤하늘에 뿌려져 있는 많은 별들은 홀로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대부분의 별들은 마치 남녀가 한쌍을 이루며 살아가듯 짝별을 가지고 있다. 어떤 별은 둘 이상의 별들과 어울려 있기도 하다.하나의 짝별을 가지고 있는 별을 가리켜 ‘이중성’이라 하며, 여러 개가 모여 있는 것은 ‘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