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억제"(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해전술’을 펼치기도 한다.동시에 코로나바이러스는 인터페론 유도 반응도 억제한다.자손을 더 많이 복제하기 위해 숙주 세포의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바이러스 도 있다.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는 특정 단백질을 합성해 숙주세포의 증식을 비정상적으로 촉진한다. 이것이 자궁경부암을 ...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박테리아에 작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마찬가지로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항생제도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폐렴구균 백신 등이 코로나19를 예방할 수는 없다”며 “다만 건강을 위해서 폐렴백신을 맞는 건 권장한다”고 설명한다.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반드시 찾아올 바이러스에 대항할 차세대 감염병 치료제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더 쉽게 찾아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 때문이다. 1994년 첫 항체치료제가 처음 출시된 이후 항체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 이어지는 이유다.바이러스와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코로나19)의 치료제 후보물질로도 주목받고 있다. 항체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환자를 치료하는 데도 쓰이지만, 감염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네덜란드와 독일 국제 공동연구팀은 2020년 5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코로나19를 유발하는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정제한 종양괴사 인자(TNF)-α를 억제하면 각종 염증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실제로 TNF-α 억제제인 에타너셉트(Etanercept)는 류머티스 관절염과 건선성 관절염, 만성 장염을 일으키는 크론병에 널리 쓰이는 약물이다. 미국 제약회사인 암젠은 200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아 에타너셉트를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폭풍은 최근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토카인 억제제 역할을 하는)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토실리주맙(Tocilizumab) 성분이 최근 중증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할 수 있도록 동정적 사용(compassionate use‧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시판 승인 전의 약을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코로나19) 치료에 사용되기도 했다. 칼레트라는 HIV의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하는데 같은 방식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면역반응은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세포까지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앓고 있는 33세 남성의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 뉴모시스티스 폐렴은 영유아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서만 발견되는 질환이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이상하리만큼 면역력이 결핍돼 있었고, T림프구 (T세포)의 수치가 현저히 떨어져 있었다. 1982년 이 질병은 에이즈로 명명됐다.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그 결과 체온을 낮추고 산소 사용량을 줄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렙틴의 분비를 억제해 식욕이 증가하도록 조절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doi: 10.1126/science.aaf5375위장과 지방세포처럼 인체의 말초 부위에서 합성된 물질들이 뇌에 도달해 뇌의 기능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몸과 뇌, 다시 말해 몸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