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교수팀은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 137명 중 32~55%가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그런데 펫로스 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반려동물과 똑같은 동물을 복제해 주는 산업이 등장했습니다. 반려동물 복제 업체는 2015년 미국에서 처음 설립된 후 우리나라와 ... ...
[4컷만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파충류 피부, 주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발견됐어요. 동굴이 석유로 가득 차 세균이 번식할 수 없어 지금껏 썩지 않았죠.
연구
팀은 “뼈가 남아있지 않아 어떤 동물의 화석인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피부 화석이 발견된 곳 인근에서 작은 도마뱀류인 카프토리누스 화석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며 “피부 화석의 주인 역시 같은 종일 ... ...
[기획] 풍선껌 알고 불면 더 커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풍선껌을 부는 데 너무 많은 힘이 들어가 오히려 크게 불기 어려워요. 우상민
연구
원은 “많은 양의 껌을 씹어 풍선의 표면적을 넓히면 좋다”며 “추운 날씨에는 껌이 딱딱해져 잘 불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입을 벌리지 않고 씹어 체온으로 껌을 녹이거나, 따뜻한 물을 마셔 껌을 말랑하게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바닷물 속 산소가 줄어들면 오징어나 문어 등 일부 해양 생물들이 시력을 잃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오징어가 먹이를 잡고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선 눈의 망막이 빛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해야 하는데, 산소가 줄어 시력이 감퇴하면 포식자에게 잡아먹히거나 먹이를 못 구해 죽을 확률이 ... ...
[특집] 개코, 복제해도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게 이유였죠. 현행법에 반려동물 복제를 허용하거나 규제하는 법은 없어요. 동물권
연구
변호사단체 박주연 변호사는 “동물 복제를 허용한다면 동물실험을 시행하는 기관이 지켜야 할 법적, 윤리적 의무를 반드시 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동물을 복제하는 과정 자체가 생명 윤리에 ... ...
[전지적 독자 시점] “머지않을 미래에 실현될 것만 같은 기대감이 있어요”_김순용 독자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딥페이크 잡는 AI 기사가 제일 기대되네요! 김시호_총선에 나선 과학자들 선택대전 대덕
연구
단지에 살아서 그런지 확실히 R&D 예산 삭감의 타격이 크다는 걸 느껴요. 과학자들의 정치 참여가 중요해 보입니다. 유채현_뉴럴링크가 보여줄 미래 선택뉴럴링크가 생기면 마치 유리벽으로 된 방에 사는 ... ...
[과학뉴스] 태양의 500조 배 역대 최대 밝기 등극한 퀘이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강착 원반에서 나오고 있다”며, “우주에서 가장 큰 강착 원반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팀은 이번 관측 결과가 적색 편이가 심한 먼 우주의 블랙홀 질량을 추정할 때 유용한 근거 자료로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뒤에는 거기에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까지 붙어버린 초대륙이 생길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
팀은 이 초대륙을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합쳐 ‘아마시아’라고 이름 지었다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병에 걸렸다가 나으면 후 천적 면역력을 얻어 다시 병에 걸리지 않는 전염병을
연구
하는 데 적합하다. 2006년 미국 전염병학자 제라도 초웰은 SIR 모형을 이용해 스페인독감 환자 수를 계산했다. 스페인독감은 1918~1920년에 걸쳐 당시 세계 인구의 2%에 해당하는 약 5000만 명의 목숨을 빼앗은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작용을 통해 어느 한쪽 지지자가 될 수도 있고, 다시 부동층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
연구
팀이 이 모형을 미국의 상원 의원과 대통령 선거에 적용한 결과 90% 이상의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특히 버락 오바마 민주당 후보와 밋 롬니 공화당 후보가 맞붙은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적중률은 100%였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