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운용"(으)로 총 5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연소기 내에서는 아음속 이하이기 때문에 연소기가 너무 뜨거워져 운용한계를 넘게 된다. 그래서 1963년 NASA 전문가들은 연소기 내에서의 속도도 초음속인 극초음속용 엔진인 ‘스크램제트엔진’을 제안했다. 스크램제트엔진은 이론상 터보제트엔진에 비해 추력을 100배 이상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것처럼 말이다. 러시아는 ‘글로나스(GLONASS)’를, 중국은 ‘베이더우(北斗)’를 각각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항법 데이터는 물론, 미국에서 제공하는 영향성 정보를 대부분 공유하고 있다. 다만 자동항법 추천경로 등 주요 정보는 미군이 단독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보인다. 또 거북선의 층수에 대해 2층과 3층 등 다양한 주장이 있는데, 필자는 함포 운용을 고려했을 때 3층으로 이뤄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2층은 천차총통 2대를 설치하고 노를 젓는 공간으로, 3층은 17대의 함포를 쏘는 공간이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또 지붕도 전체가 덮여 있지 않고 십(十)자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관리 시스템은 항해 및 탐사 활동에 필요한 선체 움직임, 선박 운항 관련 정보, 탐사장비 운용 정보, 선내 네트워크 등을 이사부호에 탑승한 모든 연구원과 승무원들에게 공유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이사부호 선박과 연구 장비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매년 보험료만 1억 원 이상 내고 있다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인쇄하려면 접착제 역할을 하는 먹을 수 있는 액체가 필요하다. 식품나노공학연구실이 운용하는 3D 푸드 프린터도 가루에 물을 뿌려 굳히는 방식으로 인쇄한다. 프린터 노즐 두 개 중 하나에는 하얀 덱스트린 가루가, 다른 하나에는 일반 프린터와 똑같이 생긴 잉크 카트리지에 물이 담겨 있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문, 기상, 극지 연구 분야와 협력해서 임무를 개발하고, 공동운용 기술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 국내 가용 연구 자원을 고려해 연구 방향의 선택과 집중이 이뤄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절반의 성공, 그리고 새로운 도전안타깝게도 이번 발사에서는 거센 풍랑으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이라고 말했다. 덩치 큰 원자로… 흑연 감속로는 지연 해체북한은 5MW급 원자로를 운용하며 우라늄을 플루토늄으로 변환해왔다. 천연 우라늄을 원자로에 넣으면 중성자가 우라늄-238에 포획돼 우라늄-239가 생성되고, 이것이 붕괴하며 플루토늄이 만들어진다. 1. 고농축우라늄(HEU)을 제조할 수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초대형 로켓 팰컨헤비는 미국의 민간우주업체인 스페이스X가 개발한 것으로 현재 인류가 운용 중인 로켓 중 가장 크다.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화물선 ‘드래곤’을 실어 나르던 ‘팰컨9’ 3기를 일렬로 세운 형태다. 필 라슨 스페이스X 대변인(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교수)은 “팰컨9이 대부분의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블록체인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보상 없이 충분히 블록체인 시스템이 운용될 수 있다. 게임 사용자들은 블록체인에 참여할 필요 없이 게임만 즐기면 된다. 암호화폐와 분리된 블록체인 생태계현재까지는 비공개형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즉,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일본과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초당 펄스 수가 60번,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운용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LCLS)는 120번 수준이다. 에벨링 팀장은 “E-XFEL을 포함해 전 세계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fs(펨토초·1fs는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화학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E-XFEL은 최초에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