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형"(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와, 플라스틱이 예술인데? 크리스 조던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친구들은 전시장 위층에 마련된 토론장으로 향했답니다. 원형의 토론장 중앙에는 여러 장의 단어 카드들이 놓여 있었어요. 기자단 친구들이 취재에 참가하기 전, 플라스틱 다이어트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어를 각자 뽑아 온 것이랍니다. 이날 토론의 주제는 ... ...
- 이것도 주기율표라고? 주기율표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더 무거운 원소들이 차례차례 바깥으로 큰 소용돌이를 그리며 커지는 구조이지요. 원형 주기율표의 장점은 원소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는 거예요. 모든 원소가 한 줄로 붙어있어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로 읽을 수 있지요. 또 다른 대안은 ‘입체 주기율표’예요. 기존의 종이 주기율표를 잘라 양 ... ...
- 韓-中 폴더블폰 대전, 승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방식을 택했다. 아웃폴드 방식은 디스플레이의 곡률(화면을 접기 위해 남겨 놓는 원형의 공간) 반경이 커 안으로 접는 인폴드 방식보다 구현하기가 수월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삼성전자는 인폴드(in-fold) 방식을 채택했다. 폴더블폰을 반으로 접으면 디스플레이가 서로 맞닿아 안쪽에 숨는다.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등 공동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 원리를 이용해 새로운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CT는 원형의 큰 기계에 사람이 들어가면 X선 발생장치가 360도로 회전하며 신체의 횡단면을 여러 장 찍고, 이 사진들을 합쳐 3D로 재구성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거꾸로 했다. 컴퓨터로 3D 물체를 입력한 뒤, 서로 다른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장치가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고의로 가짜 정보를 입력한 편집자는 활동이 정지된다. 원형감옥 ‘파놉티콘’처럼 위키백과의 사용자들 모두가 다 함께 눈을 부릅뜨고 위키백과의 지식을 지키는 경찰이 되는 셈이다.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위키백과가 불평등하다? 위키백과와 함께 그 안의 ... ...
- [QUIZ KING & POSTECH] 신입 회원 모집 대작전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얘기할 것이 있다면서 교수님 옆에 앉으려 한다. 회장, 부회장, 총무, 교수님 4명이 원형 테이블에 앉을 때 가능한 경우의 수는 얼마인가? ● 마르쿠스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마르쿠스입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포스텍의 수학 세미나 동아리 마르쿠스(MARCUS)입니다. MARCUS는 MAthematics ... ...
- [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경로가 활주로의 방향과 다를 경우, 착륙할 때 방향을 크게 틀어야 했지요. 반면 원형 활주로는 처음과 끝이 없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활주로에 접근할 수 있고, 비행기 3대가 동시에 착륙 할 수 있답니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활주로가 점점 더 길어지고 있어요. 일반적으로 비행기는 ●양력을 이용해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특별히 제작된 커다란 배가 필요해요. 이 배에는 수천km 이상의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원형 탱크가 설치되어 있지요. 이렇게 배에 케이블을 싣는 작업만 몇 주가 걸리기도 한답니다. 그리고 나면 배는 케이블을 설치할 바다로 떠나요. 이때에도 케이블 설치를 도와 줄 여러 장비가 필요하지요. 먼저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있을까요?”정답은 바로 V자 모양의 양엽형 꼬리지느러미예요. 양엽형 꼬리지느러미는 원형 꼬리지느러미에 비해 움직일 때 마찰력이 적게 생기고, 진행을 방해하는 소용돌이 현상인 ‘와류’가 적게 일어나 요. 그럼 에너지 소모가 적어서 더 빠르게 헤엄칠 수 있지요. 평균 시속 60km로 헤엄치는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나타내는 단위인 암페어는 지금까지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m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N의 힘을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는 정의를 써 왔다. 이는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됐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