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권세
권력
위세
세력
힘
권리
권한
d라이브러리
"
위력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공격적인 대화 스타일이 신비주의적인 논리 전개와 묘하게 결합될 때 나타나는 수학적
위력
을 생생하게 경험했다.모스크바에서의 겔펜드 세미나는 그런 식의 어수선한 논쟁을 바탕으로 한 번에 여덟 시간 넘게 진행되기가 일쑤였다. 수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서툴렀던 나는 그런 부류의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에 들일 수 있게 된 거예요. 알고리즘이 놀라운
위력
을 발휘하고 있는 또 다른 현장을 만나 볼까요?"혹시 우리나라에도 알고리즘 기자가 있나요? yes한국에서는 지난 해부터 기사 요약 알고리즘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선, 기사의 핵심 내용을 3줄로 발췌해 줄여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유명한 대구로 왔어! 흠…, 그런데 대구 하늘은 원래 이렇게 주황색인가?경쟁자 번개의
위력
속도 약 3만㎞/s온도 약 2만 7천℃지름 약 2m(큰 줄기)전류 세기 약 3만A(암페어) = 전구 14,000개를 24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에너지번쩍번쩍, 번개는 어떻게 생길까?주황빛 하늘을 신기하게 쳐다보다 순간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 F-18을 상대로 모의 공중전을 벌여 144대 0의 놀라운 기록을 올린 사실은 스텔스가 얼마나
위력
적인지 단적으로 증명한다.하지만 스텔스라고 반드시 무적은 아니다. 모든 기술은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가시거리 200km에 달하는 최고 성능의 레이더를 장착해도 스텔스 전투기엔 속수무책이듯, 스텔스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충격파로 1674명 중 107명은 뇌진탕 유성체는 27km로 비교적 높은 곳에서 폭발했지만 그
위력
은 대단했다. 유성체가 이동한 궤적 양쪽으로 90km에 이르는 막대한 면적에서 7000여 채의 건물들이 파손됐다. 피해 정도를 알기 위해 연구팀이 조사한 1674명 중 107명(6.4%)이 충격파 때문에 뇌진탕을 앓았다. 또 8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잘 살펴보면 파편은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사람 얼굴보다 작지요. 그러나 이 파편의
위력
은 속도에 있습니다. 적어도 초속 7km를 넘습니다. 여기에 인공위성이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둘이 부딪히면 충격량은 두 배 이상이 됩니다. 대략 소형 자동차가 시속 50km 이상으로 부딪치는 것과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무시하지 말라. 그 숫자들은 세상의 근원이 되는 알갱이들로 하나하나가 어마어마한
위력
을 품고 있다.’숫자 돌풍이 지나가자 사칙연산 장애물들이 길 밖 낭떠러지로 힘없이 나가떨어졌다. 그 장애물들은 방금 전까지 폴 일행이 힘으로 밀어붙여도 끄떡도 하지 않던 것이었다.“저 바람에 휩싸이면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것이 아닌가? 종이라고 생각하고 방심하고 있던 폴 일행은 벽에 깊히 박힌 종이의 강력한
위력
에 질겁했다. 페이퍼맨은 폴 일행의 놀란 표정이 즐겁다는 듯이 콧노래를 부르며 다시 종이를 접었다. 그리고 혼잣말을 하듯 작은 목소리로 중얼거렸다.“후훗. 종이만 있으면 뭐든 만들 수 있지 ... ...
[W5 코드 브레이커] 컴퓨터가 이끈 새로운 암호 시대!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암호 해독기 콜로서스를 통해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빠르게 계산하는 기계의 놀라운
위력
을 확인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나자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자동 계산 장치, 즉 컴퓨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미국에서 만든 초창기 컴퓨터인 에니악은 높이가 3m, 길이 26m에 무게가 무려 30t이나 되는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정상급 투수들은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이 완벽히 같은 폼에서 나오기 때문에 아주
위력
적이다.그런데 팔의 각도와 스윙이 같은데 체인지업은 어떻게 직구와 속도가 달라질까. 먼저 직구가 어떻게 빨리 날아갈 수 있는지 이해해 보자. 직구를 던질 때 공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백스핀을 주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