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으)로 총 2,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연구자들의 바람이 일부 충돌하고 있는 상황이다. 신명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노조위원장은 특정 지역을 우주산업의 클러스터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국토가 좁은 대한민국에서 특정 지역을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지정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도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우리 독자들의 적극성을 이야기하자 일사천리로 ‘현장견학’이 기획됐죠. 결국 독자위원들의 제안이 ‘동행’을 부활시키는 계기가 된 셈입니다. 참, 그러고보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을 만난 것도 전독위 덕분이네요. 독자 발제로 시작된 1월호 특집을 준비하면서 만나게 됐으니까요. 1월 26일,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LEED)’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을 획득하기도 했다. 인증 평가 기관인 US GBC(미 그린빌딩위원회)는 각 춘천이 기존 데이터 센터보다 연간 73.8%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봤다. 직접적으로 데이터 센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화를 모색하는 연구도 있다. 김대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
- [화보] I숨겨진 지구 이야기I KBS 2023 대기획 히든 어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한반도의 역사를 따라간다. 우경식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인문사회·자연과학분과위원회 위원장과 히든 어스 연출을 맡은 이광록, 이진욱, 조나은 KBS PD를 만나 그들이 포착한 흔적을 살펴봤다.*이 기사는 KBS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 과학동아는 이들을 편집부로 초대한 상태입니다. 원래 계획에는 없었는데요, 독자위원 몇몇이 “우리 꼭 한번 보고 싶다”고 하셔서 서둘러 일정을 잡았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을 모두 초대하고 싶네요) 왜 서로를 보고 싶어하는지, 사실 저는 알 것 같습니다. 각자 ... ...
- [전지적 독자 시점] 전지적 독자위원회 2기를 모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평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2월 19일(일)까지 모집하며 6개월 동안 100% 온라인으로 활동합니다. 전독위 위원들에게는 여러 독자 서비스와 선물이 제공됩니다. 전독위 선정 여부는 2월 22일에 문자로 개별 안내 드립니다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아닌 수학자! 바로 임선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님이었어요. 2014 서울 ICM 조직위원장인 박형주 아주대학교 명예교수님은 “임 교수는 음악, 미술 등 문화적 소양이 뛰어나고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하는 데다 수학적 능력이 뛰어나 한국의 수학적 위상을 보여주고 싶어 사회자로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입을 모아 “양자전송은 원칙적으로 순간이동과 다르다”고 단언했다. 안건우 독자위원은 “양자역학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니, 이번 기회에 과학동아에서 잘 알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양자전송의 원리는 뭔지, 그럼에도 순간이동이 어려운 이유가 뭔지 궁금한 독자들을 ... ...
-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도시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네옴(NEOM)’은 새로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네오(NEO)’와 아랍어로 미래를 뜻하는 무스타크발(Mustaqbal)’의 첫 글자 ‘M’을 합친 말로, 사우디아라비아의 A있는데요.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규모와 모습 때문입니다. 상상초월 스마트 시티 네옴은 정말 가능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대곤(한국전자통신연구원 ICT창의연구소 연구전문위원)스마트팜은 데이터 산업으로 변신 중 Q스마트팜에서 잎채소 외의 식물 재배는 왜 보기 힘든가요?기술적으로 가능은 하지만 쌀, 밀과 같은 곡물은 생산 단가가 높아서 현재 재배가 활발하지는 않습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