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꾸밈
거짓
변장
밥통
위
겉치레
몸단장
d라이브러리
"
위장
"(으)로 총 462건 검색되었습니다.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이런 업적이 쉽게 이뤄진 것만은 아닙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기 위해 생물학자와
위장
결혼을 감행하기도 했지요. 코발레프스카야는 많이 배운 여성을 싫어하는 아버지가 인생의 걸림돌이라고 말할 정도로 당찬 사람이었습니다.냉철할 것 같기만 한 코발레프스카야는 수학자이지만 시인이기도 ... ...
[과학뉴스] 날숨만으로 후두암과 위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환자로 판단했더니, 내시경 검사로 판별 한 내용과 약 85% 일치했다.연구팀은 향후 3년간
위장
질환이 있는 환자를 대규모로 모집해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다른 암 질환을 진단하는 데에도 활용하기 위해 추가연구를 할 계획이다.공동 연구자인 쉬레즈 마커 임페리얼칼리지 의대교수는 “간편하게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캐나다의 한 벤처회사 ‘하이퍼스텔스 바이오 테크놀로지’도 메타물질을 이용한
위장
용 옷감 ‘퀀텀 스텔스’를 개발하고 있어요. 이 회사는 미국 육군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3년 내 투명 망토를 현실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시원이와 친구들의 노력 덕분에 동물들은 크게 다친 데 없이 ... ...
[과학뉴스] 꼭꼭 숨어라~, 공룡 보일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
위장
색’이라고 해요.그런데 최근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이너스 컷힐 교수팀이 공룡도
위장
색을 가지고 있었다는 결과를 발표했어요. 컷힐 교수팀이 연구한 공룡은 프시타코사우루스로, 약 1억 2000만 년 전에 아시아에 살았던 초식공룡이에요.연구팀은 프시타코사우루스의 화석에 남아 있는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피해서 가잖아요. 그래서 저는 여러가지 물건을 쌓아놓고 서식굴 입구가 아닌 것처럼
위장
해 둔답니다. 그리고 굴속에 숨어 있다가 먹이가 지나간다 싶으면 샤샤샥 밖으로 튀어나와서 잽싸게 먹이를 낚아채지요. 후훗! [털보집갯지렁이 서식굴에서 함께 발견된 옆길게.] 참! 제가 갯벌 건축왕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마비시켜요. 문어는 멜라닌 먹물을 뿜어 천적으로부터 도망칠 시간을 버는 거예요.
위장
술과 먹물을 쓰고도 천적에게 붙잡혔다면 문어는 마지막으로 ‘들러붙기’ 전략을 써요. 문어의 빨판은 근육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어디에든 달라붙을 수 있어요. 만약 천적에게 몸의 일부가 붙잡히더라도 ... ...
[과학뉴스] 꿀꺽 삼킨 건전지를 쏙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종이모양의 로봇이 나와요. 이 로봇은 종이접기를 하듯이 몸체를 접었다 폈다 하면서
위장
곳곳을 돌아다니지요. 그리고 건전지를 발견하면 로봇에 붙어 있는 자석으로 끌어당겨서 붙인 다음 몸 밖으로 꺼내 준답니다.MIT 컴퓨터공학과 다니엘라 러스 교수는 “사람 위 속처럼 부드러운 햄 위에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낯선 사람의 발자국 소리가 들리는 거예요. 그래서 저는 나뭇가지처럼 보이기 위해
위장
을 하고 있었지요.그런데 어떻게 알았는지 그 사람이 저를 유심히 보더니 갑자기 깜짝 놀라서 넘어지더라고요. 그 사람은 서중국 곤충박물관 자오 리 박사였어요. 그래서 저의 이름은 ‘프리재니스트리아 ... ...
[과학뉴스]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교수는 “대장균이 번식하기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며 “
위장
염 등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처럼 다른 병원균을 검출할 때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는 미각 수용체와 똑같은 구조를 가진 수용체가 몸 속에도 존재한다.
위장
, 소장, 췌장, 심지어 기도에도 분포한다. 일부 과학자는 혀보다 내장에 더 많은미각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입으로 넣는 음식물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일부 유리된 당과 아미노산만 느끼는데, 내장 기관에서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