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리"(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없이 모두 일대일대응이 돼요. 그렇기 때문에 두 집합의 크기가 같아요. 자연수 집합과 유리수 집합의 크기가 같다는 것도 비슷한 방식으로 보일 수 있어요. 그렇다면 모든 무한 집합은 크기가 모두 같을까요? 놀랍게도 독일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1845~1918)가 실수 집합은 자연수 집합보다 크다는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00년 11월 2일, ISS에 첫번째 장기 투숙객이 들어왔다. 미국의 윌리엄 셰퍼드, 러시아의 유리 기젠코, 세르게이 크리칼료프까지 세 명의 승무원이었다. 임무는 ‘터 닦기’. 위 말은 이듬해 3월까지 중노동을 이어가던 그들에게 귀환 우주선 디스커버리호의 사령관 제임스 웨더비가 경의를 표하며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구간에 빨리 들어가서 이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니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나에게도 유리하다. 여태까지는 그랬다.—강변도로로 들어서고 있어. 300m 뒤부터 1.4km는 교량진입로야. 사용자가 고개를 강물 쪽으로 돌린다. 특정한 환경 정보에만 확실히 반응하고 있다. 이내 그가 또다시 전력질주 구간에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데 문제가 없고 선호되는 음식이다’라는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는 쪽이 생존에 훨씬 유리함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미 팝콘에 대한 정보를 가진 성체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연구팀은 두 번째 실험으로 분홍색 팝콘을 선호한 앵커스와 바이당키 그룹의 수컷 성체들을 파랑색 팝콘을 선호하는 ... ...
- 물속 생활 즐긴 공룡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체형은 자연스레 유선형이 된다. 몸이 유선형이면 하늘을 날거나 물에서 헤엄치는 데 유리하다. 연구팀은 나토베나토르의 갈비뼈를 여러 종의 물새, 타조, 그리고 육상 수각류 육식공룡과 비교했다. 그 결과 펭귄이나 바다오리 같은 물새와 형태가 비슷함을 밝혔다. 갈비뼈는 온전한 상태로 발견되는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산화철 등의 불순물을 첨가하고 가열해서 다양한 색상의 유리 제품을 제작했습니다. 유리 내부에 넣은 불순물로 인해 빛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나노입자가 생겨난 결과였죠. 고대 사람들은 그것이 나노입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지만, 결국 우리는 이런 사소한 발견들을 계기로 나노입자의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가장 밑바탕이 되는 존재예요. 물고기와 고래 등 다른 수중생물의 먹이가 되거든요. 유리 같은 껍질을 가진 규조류도 식물성 플랑크톤입니다. 작년 11월, 캐나다 맥길대학교 연구팀은 ‘니츠치아 필리포르미스’라는 규조류의 투명한 껍질이 광합성 효율을 9.83%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자연수부터순으로 채우고 0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음수를 채웁니다. 그다음 사이사이에 유리수와 무리수를 채우면 실수라는 직선이 완성되지요. 그런데 a + bi라는 복소수는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2개의 직선으로 표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2차 평면이 나왔고, 이게 복소평면이 된 거예요. 덕분에 a ... ...
- [러셀 탐구생활] 제2장 유클리드 기하학에 분노하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창밖을 신기한 눈으로 바라봅니다. 마침 마차가 아름다운 유리 지붕 밑을 지나갑니다. 유리 지붕이 반짝, 하고 빛나자 소년의 눈도 반짝입니다.기나긴 여정에 피곤해진 아이는 눈꺼풀이 무거워지는 것을 느낍니다. 얼마나 시간이 지났을까요. 이윽고 마차가 멈추자 꾸벅꾸벅 졸던 아이는 낯선 곳에서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술에는 한계가 있기에, 더 능숙한 개체가 있다면 그를 보고 학습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함을 알고 행하는 전략적인 행동이다. 오랑우탄은 다른 그룹에서 이민 온(?) 개체가 새 기술을 선보이거나 먹이를 찾는 데 능숙하면 그를 따라 배운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성체가 되고 다른 그룹으로 독립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