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고
경화
응축
축합
액화
d라이브러리
"
응결
"(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이아이스 권총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나오는 흰 연기는 드라이아이스 두위의 공기에 포함돼 있는 수증기가 온도에 내려가면서
응결
돼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 즉 소규모의 안개라고 할 수 있다.6. 드라이아이스가 냉각제로서 갖는 장점은 얼음처럼 녹아서 액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하기 매우 용이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때문이다 특히 기체에서는 이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가령 대기 내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
하여 구름을 형성하는 것도 대기의 단열팽창에 의한 것이다세균보다도 작아서 눈이 가는 도자기로 만든 세균 여과기로도 분리할 수 없고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미세한 입자로서, 반드시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지극히 희박하기 때문에 간헐천에서 뿜어져 나온 황(또는 이산화황) 가스가 갑자기
응결
되어 높은 고도까지 뿌려질 수 있다.” 제트추진연구소에 있는 T. V. 존슨 박사의 설명이다.또 갈릴레오는 이 불꽃이 어두운 하늘을 배경으로 빛나는 모습을 포착했다. 이것은 목성의 강한 자기장에 붙잡혀 있는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요오드화은을 발라 이것을 어둠상자에 넣어 구멍을 통해 빛을 쏘인 다음 수온증기로
응결
시켜 현상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이 역시 필름을 쓰는 사진은 아니었다.1841년 영국의 W.H.F.탈보트는 한장의 원판에서 여러 장의 사진을 뽑을 수 있는 칼로타입을 발명했다. 그러나 사진의 대중화는 1888년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위로 상승한다. 상승하는 공기 덩어리는 위로 올라감에 따라
응결
하게 된다. 이때 잠열이 발생해 상승하는 공기에 추가 에너지를 제공, 더욱 더 상승하게 된다. 이것을 대류불안정이라고 한다.열대 해양상의 대기는 상승하는 공기를 보충하기 위해 주변에 수렴된다. 태양은 ... ...
1. 온실기체 계속증가, 당분간 상승추세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_{2}$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SO}_{2}$는 대기중의 먼지 입자들을 결속하거나 구름의
응결
핵 역할을 해 대기 중으로 들어오는 태양광선을 더 많이 외계로 반사시킴으로써 지표면 냉각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그림 8)은 기후모형에 의한 기후 변화 실험 결과인데, 위쪽은 대기중 ${CO}_{2}$가 두 배로 ... ...
4 눈결정의 미학은 온도·수증기 합작품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결정 모양은 성장할 때의 대기 조건, 즉 기온과 수증기의 과포화상태(액체와 기체가
응결
되는 온도 이하로 냉각돼도 액체 또는 기체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과냉각이라고 함. 같은 이치로 기체의 압력이 포화기압 이상이 돼도 기체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를 과포화라고 함)에 따라 여러가지로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야간에 지면이 매우 냉각되기 때문에 지면 근처의 공기가 복사로 냉각, 수증기가
응결
하면서 생긴 것이다. 이와 같은 안개는 해가 뜨면 지면이 가열되면서 걷힌다. 흐린 날은 주야의 기온차가 그리 크지 않다.일기예보관측 기계를 이용해 일기를 예상하려고 시도한 것은 1643년 갈릴레이의 제자 ... ...
생명의 기원 탐구는 영원한 논쟁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실험 Ⅱ에서 S형으로 구부린 플라스크 속의 고기즙을 끓이면 구부러진 부분에 수증기가
응결
된 물이 생기므로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이 플라스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는다.파스퇴르는 이 실험을 통하여 효모 추출액 속에 미생물이 발생하는 것은 공기 중에 있는 ... ...
화학- 얼음이 물 끓이는 신비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있는 플라스크에 갑자기 얼음 주머니를 올려 놓음으로써 플라스크 안의 기체가 물로
응결
돼 플라스크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플라스크의 압력이 2분의1 기압 정도로 낮아졌다고 가정해 보면 물의 끓는 점은 약 80℃ 정도가 되는 것입니다.물은 온도를 올려줌으로써만 끓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