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 온누리(Onnuria), 미리내(mirinae) 등이 있죠.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 등 대부분의 산의 이름이 제가 발표한 학명에 다 들어갔어요. 분류학자인 제가 2018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은 것도 이런 제 노력이 우리나라의 자연문화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고 인정해주신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Q숨겨진 종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있는 천체가 다른 천체를 가리는 현상을 ‘식’이라고 해요. 무엇을 가리느냐에 따라 이름이 결정되죠. 태양이 가려지면 일식, 달이 가려지면 월식이라고 합니다.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런데 태양의 반지름은 약 69만 5000km로 반지름이 약 1737km인 달보다 400배나 커요. 가로, ... ...
- [잔소리상] 발가락 사이 잘 씻어야 하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각각 다른 마이크로바이옴이 있을 거라는 가정을 하고 이를 ‘할머니 가설’이라고 이름 붙인 뒤 실험을 시작했지요. 크랜달 교수팀은 대학생 129명의 샘플을 수집했습니다. 씻기 쉬운 팔뚝, 종아리 같은 부위와 발가락 사이, 귀 뒤, 배꼽처럼 꼼꼼하게 씻기 어려운 부위를 각각 면봉으로 문지르게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Ia io)’, 세상에서 가장 짧은 학명 중 하나죠. 어떤 과학자는 평소 좋아하던 유명인의 이름을 넣어 학명을 짓기도 합니다. 지난 4월, 태국에서 발견된 한 꽃에는 블랙핑크 멤버인 리사의 본명 ‘라리사’를 따 ‘프리소디엘시아 라리사 담스(Friesodielsia lalisae)’라는 학명이 붙었답니다 ...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버섯 농사를 짓는 독특한 개미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석좌교수가 처음 이름을 붙인 종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오로지 국립생태원에서만 볼 수 있지요. 우리나라생물탐사 팀 서원식 대원은 “잎꾼개미와 버섯은 서로 도우며 살아간다”며 “캠프에서 만난 다양한 생물 중 협력하며 ... ...
- [이달의 과학사] 반짝반짝 네온사인, 대중에 첫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기체를 발견했어요. 이들은 ‘새롭다’는 의미의 그리스어를 따 그 기체에 네온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네온이 발견되고 9년이 지난 뒤, 프랑스의 화학자 조지 클로드는 공기를 액화해 네온 기체를 분리해 내는 방법을 알아냅니다. 이때 클로드는 네온 기체가 들어 있는 유리관 안에 전류를 ... ...
- 맹꽁, 맹꽁! 물총새가 첨벙!...우리 동네 도시숲에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크기가 작고 몸 전체가 둥글어요. 짝짓기 철 수컷들이 ‘맹꽁, 맹꽁’ 울어 맹꽁이란 이름이 붙은 양서류지요. 맹꽁이 팀은 이날 발표에서 “대전 갑천 지역에 아파트가 지어질 예정인데, 멸종위기 2급인 맹꽁이의 서식지가 파괴되지 않도록 이 사실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도시숲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벽도, 천장도 자유자재로! 그래비티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수 있는 무선조종차(RC카)예요. 로버는 ‘방랑하다’라는 뜻의 영어 ‘rove’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달이나 화성 등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그곳의 토양, 대기 등을 탐사하는 로봇을 뜻하지요. 대표적으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20년 화성으로 발사한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있습니다. 그래비티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영원한 라이벌! 승리할 '가능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내 이름은 ‘로몬’이야. 고슴도치 마을의 해결사이자, 가장 공정한 심판이지. 그런데 손에 웬 풍선을 들고 있냐고? 나를 가장 많이 찾아오는 단골손님, ‘꼬슴’이와 ‘또치’가 내기의 심판을 또 봐달라고 부탁했거든. 꼬슴이와 또치는 사이좋은 친구지만, 경쟁하는 걸 즐기는 영원한 ... ...
- [출동, 슈퍼M] 초등학생의 평균 용돈은 얼마일까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용돈을 모으는 목적에 따라 3개의 저금통에 나눠 관리할 것을 추천했어요. 각각의 저금통 이름은 ‘쓰기’, ‘모으기’, ‘나누기’지요. ‘쓰기’ 저금통은 말 그대로 금방 쓰기 위한 돈을 모으는 곳이에요. 지금 필요하거나 갖고 싶은 물건을 사기 위한 돈을 모으지요. ‘모으기’ 저금통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